• Research Article

    For Geographies of Poverty: A Case Study of Poverty Representations in Geography Textbooks

    빈곤의 지리학을 위하여: 지리 교과서의 빈곤 재현을 사례로

    Ji-Eun Han

    한지은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analyze poverty representations in geography textbooks for alternative geographies of poverty. To this end,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 교과서에서 재현되는 빈곤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대안적 빈곤의 지리학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적 맥락에서 빈곤 담론과 빈곤 재현의 …

    + READ M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analyze poverty representations in geography textbooks for alternative geographies of poverty.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poverty concepts and discourses and examined politics of poverty representations in geography textbooks. Until now, poverty often were represented as starving children in urban slums of global south or the third world in textbooks. For constructing geographies of poverty, I proposed to understand poverty in multidimensional aspects, and to reveal agency of people in poverty and affects of poverty.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 교과서에서 재현되는 빈곤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대안적 빈곤의 지리학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적 맥락에서 빈곤 담론과 빈곤 재현의 정치를 검토하고, 초중등 지리 교과서에서 빈곤이 재현되는 양상을 분석했다. 빈곤 재현의 분석 결과 지리 교과서에서 빈곤은 남반구나 제3세계 도시 슬럼에서 기아로 고통받는 아동으로 타자화된 ‘상상의 지리’에 가까웠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빈곤의 지리학을 구성하기 위해 빈곤을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빈민의 행위 주체성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빈곤 경험의 정동을 포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COLLAPSE
    31 March 2024
  • Research Article

    A Study on the Concept of Globalization in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통합사회 교과서의 세계화 내용 분석

    Hyojeong Kim, Yunmi Lee, Wonseob Song, Chul-Ki Cho

    김효정, 이윤미, 송원섭, 조철기

    Focusing on ‘globalization’, one of the key concepts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reflected …

    이 논문은 통합사회의 핵심개념 중 하나인 ‘세계화’에 초점을 두고, 해당 단원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에 반영된 특성을 분석하고 새로운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변화 방향을 …

    + READ MORE
    Focusing on ‘globalization’, one of the key concepts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and contents of the unit about the globalizat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hange in the new curriculum and textbooks. To this end,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to derive the degree of reflection of the textbook’s curriculum, the semantic network between keywords, and the centrality. As a result, the description of the textbook was consistent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However, both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described global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ism, and the aspect of globalization was limited to 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In addition, many of the activity materials introduced to improve subject competency remained at the level of examples showing the fragmentary aspect of globalization and questions in terms of knowledge. Lastly, global citizenship, a quality required as a global citize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showed low centrality and frequency of appearance in both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lacked activities or descriptions related to values and attitudes. As global issues emerge with the progress of globalization, geography education also raises the need to view the world as a community as a global citizen and emphasizes responsibility and practice.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a useful material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new curriculum and textbook description by diagnosing the curriculum of the globalization unit and the description of the textbook.


    이 논문은 통합사회의 핵심개념 중 하나인 ‘세계화’에 초점을 두고, 해당 단원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에 반영된 특성을 분석하고 새로운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변화 방향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교과서의 교육과정 반영 정도, 핵심어들 간의 언어네트워크 및 중심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의 서술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부합하였다. 그러나 교육과정과 교과서 모두 세계화를 국가 중심주의 관점에서 서술하였으며, 세계화의 양상을 경제적・문화적 측면에 국한해서 서술하였다. 또한, 교과 역량 향상을 위해 도입된 활동 자료들은 단편적인 세계화의 양상을 보여주는 사례 나열과 지식적 측면의 질문 수준에 머문 경우가 다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세계화 시대에 요구되고 있는 세계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인 세계시민 의식은 교육과정과 교과서 모두에서 중심성과 출현 빈도가 낮게 나왔으며, 가치 및 태도와 관련된 활동이나 서술이 부족하였다. 세계화의 진전으로 글로벌 쟁점들이 부각되면서 지리교육에서도 세계시민으로서 전 세계를 공동체로 바라볼 필요성을 제기하고 책임과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글로벌화 시대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설명을 조사함으로써 미래 교육과정 및 교과서 설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COLLAPSE
    31 March 2024
  • Research Article

    A Critical Review on the Description of Geography of Europe in High School “World Geography” Textbook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Industrial and Economic Geography

    고등학교 「세계지리」 교과서의 유럽지리 서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산업 및 경제지리 내용을 중심으로

    Minhwan Lee, Nayoung Ryu

    이민환, 류나영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contents about geography of Europe in high school “World Geography” textbooks based on the 2015 geography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세계지리」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유럽지리 관련 내용 요소를 개관하고, 이 중 지역지리적 관점에서 서술된 “VI. …

    + READ MORE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contents about geography of Europe in high school “World Geography” textbooks based on the 2015 geography education curriculum, and to critically review the chapter VI: Europe and North America, of which the focus is on regional geography.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versimplification in describing change of industrial geography in Europe; second, excessive memorization in detail; third, overgeneralizing Western Europe and excluding Eastern Europe. These issues require attention because there is a concern that misconceptions may be instilled in students who learn world geography.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that can make the description of geography of Europe more logical is suggested. This contributes to making it easier for students to understand geography of Europe.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세계지리」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유럽지리 관련 내용 요소를 개관하고, 이 중 지역지리적 관점에서 서술된 “VI. 유럽과 북부 아메리카” 단원의 내용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구체적 고찰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지리 변화과정이 지나치게 단순화되어 서술되었고 둘째, 국지적 사실 암기를 유도하는 내용이 많으며 셋째, 서유럽 사례 중심으로 서술되고 동유럽이 거의 배제되어 있다는 점이다. 지적한 사항들은 세계지리를 학습하는 학생들에게 오개념을 심어줄 우려가 있어 주의가 요구되며, 이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유럽지리의 내용을 보다 논리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이러한 방향은 학생들의 유럽지리 이해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COLLAPSE
    31 March 2024
  • Research Article

    Analysis of the Theme of ‘Conflict’ in Geography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Jouissance and Superego in Lacan’s Psychoanalysis

    라깡 정신분석의 주이상스와 초자아 개념에 의한 지리교육의 ‘갈등’ 주제에 대한 분석

    Mihye Kim

    김미혜

    This study assumes that the superego, one of the human Psychic agency pursues an insidious jouissance, causing human conflict with others. Accordingly, …

    본 논문은 인간의 정신적 행위자중 하나인 초자아가 음험한 주이상스를 추구함으로써 인간이 타자와의 갈등을 유발한다고 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리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

    + READ MORE
    This study assumes that the superego, one of the human Psychic agency pursues an insidious jouissance, causing human conflict with other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causes of human conflict, which is an important topic in geography education,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jouissance and superego. It is assumes that humans have lost the jouissance they previously had in order to enter the world of law. Therefore, subject comes to desire the lost object a in order to fill the lack of the castrated position. Humans should have enjoyment by discerning ‘objet petit a’ in an ethical manner, but due to the manifestation of the superego, they believe that ‘objet petit a’ has been stolen by others. Therefore, humans hate others who illegally occupies one’s ‘objet petit a’, humans experience extreme conflict. There are many situations where the superego tries to enjoy jouissance in an unethical way, mainly in the areas of religion, race, ethnicity, and politics. In order for students to live together with the geographical others in an ethical way, it is necessary to suppress the expression of the superego, which seeks to gain enjoyment by considering the others illegally.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guide students through geography education so that they can discern ‘objet petit a’ and obtain ethical enjoyment.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know that the ‘objet petit a’ is shared between I and the other, and Lacan’s humanistic value of ‘I am the other and the other is I’ needs to be incorporated into geography education.


    본 논문은 인간의 정신적 행위자중 하나인 초자아가 음험한 주이상스를 추구함으로써 인간이 타자와의 갈등을 유발한다고 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리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인간 간의 갈등의 원인을 주이상스와 초자아의 관점에 기반하여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간은 법의 세계에 진입하기 위해 이전에 가졌던 향락을 거세당했다고 여긴다. 따라서 인간은 거세당한 자리의 결핍을 채우기 위해 잃어버렸던 대상 a를 욕망하게 된다. 인간은 윤리적인 방식으로 대상 a를 분별함으로써 향락을 누려야 하는데, 초자아의 발현으로 인해 대상 a를 타자가 절도했다고 여긴다. 따라서 인간은 자신의 대상 a를 불법적으로 점유한 타자를 증오함으로써, 나와 타자는 극심한 갈등을 겪게 된다. 주로 종교・인종・민족・정치 영역에서 초자아가 비윤리적인 방식으로 주이상스를 향유하려는 정황이 많이 드러난다. 학생들이 지리적 타자와 윤리적인 방식으로 더불어 살기 위해서는 타자를 불법적으로 간주함으로써 향락을 얻으려는 초자아의 발현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에 지리교육을 통해 학생이 대상 a를 끝까지 분별하여 윤리적인 향락을 얻을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나와 타자가 대상 a를 공유한 관계라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며, ‘내가 타자이고 타자가 나’라는 라깡의 인문학적 가치가 지리교육에 접목될 필요가 있다.

    - COLLAPSE
    31 March 2024
  • Research Article

    Geographical Education Approach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Life Area in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cusing on Urban Stream Burial and Restoration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따른 자연환경과 인간생활 영역의 지리교육적 접근: 도시하천의 복개와 복원을 중심으로

    Young Shin Lim

    임영신

    Understanding human modifications of river environment requires an integrated perspective and forms the basis for fostering ecological citizenship. This study reviews how …

    인간 활동에 의한 하천 환경의 변화는 통합적 관점에서 다뤄질 필요가 있으며 이를 이해하는 것은 생태시민성 함양의 토대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 …

    + READ MORE
    Understanding human modifications of river environment requires an integrated perspective and forms the basis for fostering ecological citizenship. This study reviews how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revised in 2022 addresses changes in river environments induced by human and their environmental impacts across different school levels. Additionally, this study explores the applicability of such content to geography teaching and learning. In both the high school subject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and 『Inquiry into Korean Geography』, culverted rivers can be used to illustrate anthropocentrism and urbanization-induced changes in the environment, respectively.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culverting’ and help them to infer its impact on rivers, it is proposed to provide simplified cross-sectional diagrams of culverted rivers that depict both surface and subsurface features simultaneously,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visual materials such as aerial photograph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an inquiry-based activity that begins by identifying the presence of rivers on the map, leading to an integrated analysis of changes in river environm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references in geography education classes.


    인간 활동에 의한 하천 환경의 변화는 통합적 관점에서 다뤄질 필요가 있으며 이를 이해하는 것은 생태시민성 함양의 토대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 활동에 의한 하천 환경 변화 및 그 환경적 영향이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학교급별로 어떻게 다뤄지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이 주제의 교수・학습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고등학교 『통합사회』 과목에서는 인간 중심주의 자연관의 사례로, 『한국지리 탐구』 과목에서는 도시화로 인한 자연환경의 변화 사례로서 복개하천이 활용될 수 있다. 학생들의 ‘복개’ 개념 이해와 구조물의 영향에 대한 추론을 돕기 위해서 겉보기 방식의 시각자료보다는 복개 하천의 지상과 지하가 동시에 확인되는 하천 횡단면도를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탐구 과목에서는 지도 상에서 하천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는 활동을 단초로 하여 통합적 관점에서 하천 환경 변화를 분석하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지리교육 수업에서 학습자료 및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COLLAPSE
    31 March 2024
  • Research Article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nts of Intraregional Migration within a Region-based Megaregion and towards Its Metropolitan Cities

    지방 초광역권 인구이동 특성 및 권역 내 지방광역시로의 이동 결정 요인

    Sunghwan Kim

    김성환

    The population decline in local areas has become a problem, coupled with the nationwide population decline trend. The government proposed the Mega …

    최근 지방 인구감소는 전국 인구의 감소추세와 맞물려 더욱 문제시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여러 광역지자체를 권역으로 묶어 규모의 경제를 도모하는 초광역권 구상을 제시하였으나 지방 …

    + READ MORE
    The population decline in local areas has become a problem, coupled with the nationwide population decline trend. The government proposed the Mega Region concept as a solution to overcome the population decline in local areas. This study analyzes the population movement within local Mega Regions in detail.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wo main points. 1)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out-migration of the population from the population-declining areas to the local metropolitan cities is ‘family’. This is different from other regions where ‘job’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2)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ing households, the educational level and age of the head of the household, and the number of children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affect the probability of the household moving.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demand for jobs and education are the driving forces behind the migration of households from the population-declining areas to the local metropolitan cities. Therefore, in order to stop the population decline in local areas,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strategy by carefully analyz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flow and outflow population within the Mega Region, rather than simply applying the existing methods of attracting population such as securing cultural and convenience facilities.


    최근 지방 인구감소는 전국 인구의 감소추세와 맞물려 더욱 문제시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여러 광역지자체를 권역으로 묶어 규모의 경제를 도모하는 초광역권 구상을 제시하였으나 지방 초광역권의 인구 이동경향을 심도있게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 초광역권 내 인구 이동을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특징적인 흐름을 보이는 지방광역시로의 이주를 중심으로 이동 가구의 특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악할 수 있다. 1) 인구감소지역에서 지방광역시로 전출한 인구의 전출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가족’이다. ‘직업’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혔던 타 지역과 상이하다. 2) 인구감소지역에서 지방광역시로 전출한 가구의 특성을 살펴보면 가구주의 교육수준과 연령, 그리고 자녀의 수가 통계적으로 가구의 이주 확률을 높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볼 때 직업 수요와 교육 수요가 인구감소지역에서 지방광역시로 전출하는 가구의 동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지방의 인구감소 추이를 막기 위해서는 기존의 정주여건 개선 등의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기 보다 지역 특성과 초광역권 내 유출입 인구의 유형과 특성을 면밀히 분석해 전략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 COLLAPSE
    31 March 2024
  • Research Article

    Community Mapping and Local Development: Asset Mapping and Capacity Building and Examples

    커뮤니티매핑과 지역발전: 자산 매핑과 주민 역량 그리고 지역 사례

    Sangcheol Kwon, Heechang Hyeon

    권상철, 현희창

    Recently, community mapping has been practiced on a variety of topics, serving as an opportunity to increase interest in local communities. Map …

    최근 커뮤니티매핑이 다양한 주제를 지도로 제작하며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고 있다. 지도 제작은 오랫동안 정부 주도로 이루어지고 지역발전 또한 하향식 …

    + READ MORE
    Recently, community mapping has been practiced on a variety of topics, serving as an opportunity to increase interest in local communities. Map making has been mostly the work of governments for a long time, and as top-down approaches to regional development have not yielded expected outcomes,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has been in practice to understand the local community and find ways to improve the situation. Mapping is included important part of such research; in the case of developing countries, the needs are emphasized in the use and management of resources by indigenous people distorted during the colonial rule; in the case of developed countries, efforts to promote regional development by discovering the potential and assets of local communities have led to map production activities. Both emphasize the map making process involving participants’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o define and improve local issues. The demand for map production turns into the widely practiced community mapping as web mapping services became available with the development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technology. Community mapping will be more appropriate and diverse in use if its understanding considers the efforts in mapping activities and local development being closely connected.


    최근 커뮤니티매핑이 다양한 주제를 지도로 제작하며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고 있다. 지도 제작은 오랫동안 정부 주도로 이루어지고 지역발전 또한 하향식 접근이 성과를 내지 못하며,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와 상황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 모색이 참여 행동 연구로 이어진다. 여기에 지도 제작 또한 중요한 활동으로 포함되는데, 발전국의 경우 지역사회의 잠재력과 자산을 발굴해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개발도상국의 경우 식민 상태에서 벗어나며 토착 주민의 자원 이용과 관리를 권한을 표출하려는 수요가 지도 제작 활동으로 나타난다. 양자 모두 주민의 관심과 참여에 기반한 지도 제작 과정을 강조한다. 지역 문제를 지도로 나타내려는 수요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웹지도 제작 서비스가 이용 가능해지며 커뮤니티매핑으로 불리며 확대되고 있다. 지역주민 참여의 지도 제작과 공유를 의미하는 커뮤니티매핑은 지도 제작 그리고 지역 단위의 발전을 도모하는 노력 양자를 연계된 활동으로 이해를 확장하면 보다 적실하고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COLLAPSE
    31 March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