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4 Vol.13, Issue 1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March 2024. pp. 17~33
Abstract
Focusing on ‘globalization’, one of the key concepts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and contents of the unit about the globalizat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hange in the new curriculum and textbooks. To this end,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to derive the degree of reflection of the textbook’s curriculum, the semantic network between keywords, and the centrality. As a result, the description of the textbook was consistent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However, both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described global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ism, and the aspect of globalization was limited to 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In addition, many of the activity materials introduced to improve subject competency remained at the level of examples showing the fragmentary aspect of globalization and questions in terms of knowledge. Lastly, global citizenship, a quality required as a global citize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showed low centrality and frequency of appearance in both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lacked activities or descriptions related to values and attitudes. As global issues emerge with the progress of globalization, geography education also raises the need to view the world as a community as a global citizen and emphasizes responsibility and practice.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a useful material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new curriculum and textbook description by diagnosing the curriculum of the globalization unit and the description of the textbook.
이 논문은 통합사회의 핵심개념 중 하나인 ‘세계화’에 초점을 두고, 해당 단원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에 반영된 특성을 분석하고 새로운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변화 방향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교과서의 교육과정 반영 정도, 핵심어들 간의 언어네트워크 및 중심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의 서술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부합하였다. 그러나 교육과정과 교과서 모두 세계화를 국가 중심주의 관점에서 서술하였으며, 세계화의 양상을 경제적・문화적 측면에 국한해서 서술하였다. 또한, 교과 역량 향상을 위해 도입된 활동 자료들은 단편적인 세계화의 양상을 보여주는 사례 나열과 지식적 측면의 질문 수준에 머문 경우가 다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세계화 시대에 요구되고 있는 세계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인 세계시민 의식은 교육과정과 교과서 모두에서 중심성과 출현 빈도가 낮게 나왔으며, 가치 및 태도와 관련된 활동이나 서술이 부족하였다. 세계화의 진전으로 글로벌 쟁점들이 부각되면서 지리교육에서도 세계시민으로서 전 세계를 공동체로 바라볼 필요성을 제기하고 책임과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글로벌화 시대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설명을 조사함으로써 미래 교육과정 및 교과서 설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References
  1. 강운선, 2016, “다문화교육정책의 목표에 관한 연결망 분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학술대회지, 2016(2), 383-388.
  2. 강지영, 2006, “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반사회교과서에 반영된 세계화 및 세계시민교육 내용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고미나・조철기, 2010, “영국에서 글로벌학습을 위한 개발교육의 지원과 지리교육,”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8(2), 155-171. 10.17279/jkagee.2010.18.2.155
  4. 고수정・김순양, 2013, “복지행정분야 연구논문의 경향 분석: Network Text Analysis 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4(2), 211-234.
  5. 교육부, 1997,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6. 교육부, 2015,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7]」.
  7. 김갑철, 2016a, “중학교 지리교육과정에 재현된 세계시민성 담론 분석,” 사회과교육, 55(4), 1-16.
  8. 김갑철, 2016b, “세계 시민성 함양을 위한 지리교육과정의 재개념화,” 대한지리학회지, 51(3), 455-472.
  9. 김다원, 2021, “글로벌 사회의 객관적 인식을 위한 초등 지리교육과정의 보완적 구성 방안 연구,” 한국지리학회지, 10(1), 19-36. 10.25202/JAKG.10.1.2
  10. 김민성, 2013, “비판적 세계시민성을 통한 지리 교과서 재구성 전략: 르완다를 사례로,” 사회과교육, 52(2), 59-72.
  11. 김민우・박선미, 2019, “지리와 일반사회 영역에서 경제적 세계화를 어떻게 보는가?-2015 개정 중학교 사회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58(4), 13-30. 10.37561/sse.2019.12.58.4.13
  12. 김민정, 2005, “고등학교 사회과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용학, 2003, 「사회 연결망 분석」, 서울: 박영사.
  14. 김은영, 2007,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서의 ‘세계화’ 관련 내용 분석,” 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노명완, 2004, “집필・검정 과정상의 문제점 개선 시급,” 한국교과서 연구재단, 16-21.
  16. 류상일・남궁승태, 2011, “재난안전 관련 법제 분석: 언어네트워크 분석기법을 중심으로,” Crisisonomy, 7(6), 29-46.
  17. 마미화, 2005,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세계화’에 대한 관점 및 서술 내용의 분석 연구: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박배균, 2012, “한국학 연구에서 사회-공간론적 관점의 필요성에 대한 소고,” 대한지리학회지, 47(1), 37-59.
  19. 박성희, 2009, “제 17 대 대통령 후보 합동 토론 언어네트워크 분석: 북한 관련 이슈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45(1), 220-254.
  20. 박치성・정지원, 2013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사회적 인식 네트워크 (socio-cognitive network) 분석을 통한 정책이해관계자 간 공유된 의미 파악 사례,” 한국행정학회 2013 하계학술발표논문집, 828-849.
  21. 박한우・Leydesdorff, 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Daum. net 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6(5), 1377-1387.
  22. 성열관, 2010, “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국제교육의 관점과 개념 분석-영국 국가교육과정 지침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37), 23-42.
  23. 송준, 2013, “세계화 대응전략과 지역문화의 중요성,” 한국민속학, 58, 203-234.
  24. 신호철, 2008,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세계화’ 관련 내용 연결망 분석,”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심광택, 2014, “생태적 다중시민성 기반 사회과의 핵심개념및핵심과정,” 사회과교육, 53(1), 21-40.
  26. 원요한・임은진, 2021, “‘비판적 경계 읽기’ 수업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방안 연구,” 한국지리학회지, 10(1), 51-65. 10.25202/JAKG.10.1.4
  27. 이경한, 2018, “세계시민교육의 관점에서 세계지리와 여행지리 교육과정의 비판적 분석,” 국제이해교육연구, 13(2), 39-75. 10.35179/jeiu.2018.13.2.39
  28. 이동근, 2004, “고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세계화 교육의 내용과 문제점,”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이동민, 2014, “초등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49(6), 949-969.
  30. 이동민・고아라, 2015, “중등 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54(3), 1-19.
  31. 이수상, 2014,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1(4), 49-68. 10.3743/KOSIM.2014.31.4.049
  32. 이영종, 2014, “세계화와 기업규율-주식회사와 다국적기업을 중심 규율대상으로 본 기업규율에 대한 1990 년대 이래의 세계화의 영향에 관한 서론적 고찰,” 국제거래법연구, 23(2), 449-474.
  33. 이원준, 2010, “소비자의 루머 인식과 브랜드 태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11), 363-370. 10.5392/JKCA.2010.10.11.363
  34. 이은주, 2007, “고등학교 지리교과서의 세계화와 지역화 내용 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이지연・조철기, 2008, “세계화의 관점에서 지역 학습 내용의 재구성과 수업의 실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2), 159-172.
  36. 이태주・김다원, 2010, “지리교육에서 세계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개발교육의 방향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5(2), 293-317.
  37. 조성욱, 2014, “경제지리 교육내용 구성 방법의 문제점과 대안 검토,” 한국지리학회지, 3(1), 1-15. 10.25202/JAKG.3.1.1
  38. 조철기, 2006, “영국 국가교육과정에서 시민성 교과의 출현과 지리교육의 동향,”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3), 421-435.
  39. 조철기, 2016, “[통합사회]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대한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1), 47-60.
  40. 최병두, 2012, “초국적 이주와 한국의 사회공간적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7(1), 13-36.
  41. 최원형, 2006, “세계화와 교육개혁 및 논의의 동향,” 교육연구, 14(1), 97-112.
  42. 최정숙・조철기, 2009, “지리를 통한 세계시민성교육의 전략 및 효과 분석-커피와 공정무역을 사례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7(3), 239-257. 10.17279/jkagee.2009.17.3.239
  43. 최정순・설규주, 2014,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 및 구조 분석: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경제 영역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53(2), 1-19.
  44. 하은혜・이채현・조철기, 2022, “언어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한 중등학교 지리 교과서의 지리정보체계 (GIS) 내용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8(3), 367-381. 10.26863/JKARG.2022.8.28.3.367
  45. 한희경, 2011, “비판적 세계 시민성 함양을 위한 세계지리 내용의 재구성 방안-사고의 매개로서 ‘경계 지역’과 지중해 지역의 사례,”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9(2), 123-141.
  46. Anderson, J., Askins, K., Cook, I., Desforges, L., Evans, J., Fannin, M., Fuller, D., Griffiths, H., Lambert, D., Lee, R., MacLeavy, J., Mayblin, L., Morgan, J., Payne, B., Pykett, J., Roberts, R., and Skelton, T., 2008, What is geography’s contribution to making citizens? Geography, 93(1), 34-39. 10.1080/00167487.2008.12094217
  47. Bartelson, J., 2009, Visions of World Community,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1017/CBO9780511642296
  48. Bhagwati, J., 2004, In defense of globalization: With a new afterwor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49. Buckley, P.J. and Ghauri, P.N., 2004, Globalisation, economic geography and the strategy of multinational enterprise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35, 81-98. 10.1057/palgrave.jibs.8400076
  50. Davies, I., 2006, Global citizenship: Abstraction or framework for action?, Educational Review, 58(1), 5-25. 10.1080/00131910500352523
  51. Dicken, P., 2004, Geographers and ‘globalization’:(yet) another missed boat?,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29(1), 5-26. 10.1111/j.0020-2754.2004.00111.x
  52. Dower, N., 2000, The idea of global citizenship: Asympathetic assessment, Global Society, 14(4), 553-567. 10.1080/713669060
  53. George, V. and Wilding, P., 2002, Globalisation and human welfare, Palgrave(김영화 등 역, 2004, 「세계화와 인간복지」, 서울: 삼우사). 10.1007/978-1-4039-1401-9
  54. Giddens, A., 1989, Sociology, Polity(김용학 역, 2009, 「현대사회학」, 서울: 을유문화사).
  55. Held, D., McGrew, A., Goldblatt, D., and Perraton, J., 1999, Global transformations: Politics, economics and culture, in C. Pierson eds., Politics at the Edge: The PSA Yearbook 1999, London: Palgrave Macmillan UK, 14-28. 10.1057/9780333981689_2
  56. Lambert, D. and Balderstone, D., 2010, Learning to Teach Geography in the Secondary School(2nd Edition), NY: Routledge.
  57. Levitt. T., 1983, The Globalization of Markets, Harvard Business Review, 61(3), 92-102.
  58. Myers, J.P., 2006, Rethink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Educaton for global citizenship in the U.S.,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34(3), 370-394. 10.1080/00933104.2006.10473313
  59. Robertson, R., 1992, Globalization: Social theory and global culture, Globalization, 1-224.
  60. Roman, L.G., 2003, Education and the contested meanings of ‘global citizenship’, Journal of Educational Change, 4, 269-293. 10.1023/B:JEDU.0000006164.09544.ac
  61. Schweisfurth, M., 2006,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Teacher agency and curricular structure in Ontario schools, Educational Review, 58(1), 41-50. 10.1080/00131910500352648
  62. Spring, J., 2008, Research on globalization and educa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8(2), 330-363. 10.3102/0034654308317846
  63. Stemler, S., 2000, An overview of content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and evaluation, 7(1), 17.
  64. Stiglitz, J.E., 2000, Capital market liberalization, economic growth, and instability, World development, 28(6), 1075-1086. 10.1016/S0305-750X(00)00006-1
  65. Swyngedouw, E. and nor Local, N.G., 1997, Glocalization and the Politics of Scale. in Kevin R. Cox eds., Globalization: Reasserting the Power of the Local, NY: Guilford, 137-166.
  66. Wolf, M., 2004, Why globalization works(Vol. 3), Connecticut: Yale University Press.
Information
  • Publisher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 Publisher(Ko) :한국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학회지
  • Volume : 13
  • No :1
  • Pages :1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