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4 Vol.13, Issue 2

Research Article

30 June 2024. pp. 133~147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ing balance of inbound and outbound tourism markets of Korea at the country scal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tourism markets from/to Korea in detail. We suggest a method for estimating the number of country-level outbound visitors, using international air passenger movement data, with examining its validity. This is an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existing outbound visitor related data. Then, we analyze the monthly changes in the inbound and outbound market structure with major partner countries (China, Japan, Taiwan, USA, Thailand, and Malaysia) in the international tourism markets in 2015~2023 with the exception of the COVID-19 pandemic period(2020~2022).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 accuracy of the estimation results varies from country to country, which is likely due to differences among the major partner countries in the level of diversity in the transportation mode and route chosen by Korean visitors for entry. Next, we find that the level of balance in the Korean inbound-outbound markets varies from country to country with their heterogeneous fluctuations.
이 연구는 우리나라 국제관광시장의 불균형 구조에 대한 세부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 방문객 비중의 변화 추이를 상대국 단위에서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먼저 아웃바운드 방문객 자료의 가용성 제약을 고려하여 국제노선 여객운송 관련 자료를 활용한 상대국 단위의 내국인 방문객 수 추정 방법을 제시하고, 추정 결과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2015~2019, 2023년 주요 상대국(중국, 일본, 대만, 미국, 태국, 말레이시아)과의 인바운드・아웃바운드 시장 구조의 연중・연간 변동 추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국에 따라 상이한 한국인 방문객의 입국 교통수단과 경로의 다양성 수준이 아웃바운드 방문객 수의 추정 품질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우리나라 인바운드・아웃바운드 시장의 불균형 수준은 상대국에 따라 편차가 존재하며, 변동 추이 또한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국제관광 부문의 주요 현안인 시장 불균형 문제를 상대국 단위의 미시적 스케일에서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eferences
  1. 권태일, 2021, “코로나 19로 인한 인바운드・아웃바운드 변화,” 한국관광정책, (83), 96-103.
  2. 김기홍, 2008, “방한 미국여행객의 국제 수요변동성 분석,” 통상정보연구, 10(1), 395-414.
  3. 김종구, 2014, “방한 국제 관광수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38(6), 167-187.
  4. 모수원, 2006, “뉴스가 일본관광객에 미치는 효과,” 지역발전연구, 6(1), 41-54.
  5. 모수원, 2009, “경제변수의 변동이 국제관광수요와 공급에 미치는 장단기 효과,” 한국산업경제저널, 1(1), 39-58.
  6. 모수원, 2010, “환율과 유가가 관광수요에 미치는 효과,” 관광연구, 24(6), 27-38.
  7. 모수원・이광배, 2016, “아웃바운드와 인바운드 관광수요의 변동성 추정,” 호텔관광연구, 18(4), 45-61.
  8. 박득희・이계희・이민정, 2015, “방한 중국 관광객 수요 예측모델의 비교 연구,” 관광연구저널, 29(3), 29-40.
  9. 박성용, 2007, “다변량 자기회귀 조건부 이분산 모형을 이용한 방한 외래관광수요의 변동성 결정요인 분석,” 관광학연구, 31(2), 29-47.
  10. 박진석, 2010, “한국 인바운드 관광수요의 결정요인 비교연구,” 산업혁신연구, 26(2), 225-246.
  11. 원두환・김형건・정수관, 2018, “한국인의 일본 관광수요와 일본인의 한국 관광수요의 변동성 분석,” 대한관광경영학회, 33(4), 15-32.10.21719/IJTMS.33.4.2
  12. 이진희・박종훈・조광익, 2018, “국제 인바운드 관광수요 결정 모형 비교: 계량경제모형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0(12), 143-159.10.31336/JTLR.2018.12.30.12.143
  13. 이현재, 2012, “우리나라 내외국인 관광규모 및 경비지출 형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0), 395-407.10.5392/JKCA.2012.12.10.395
  14. 임재욱・라미진・윤문길, 2014, “항공사 공급력과 외래 관광객 유치 효과분석-한국 항공시장을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지, 12(5), 3-17.
  15. 정주현・최기홍・윤성민・김인신, 2014, “환율의 변동에 따른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관광수요 분석: 한국과 아시아 국가를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23(6), 21-36.
  16. 최기홍・김부권・김희진, 2020, “Copula 모형을 적용한 방한 관광객 의존성 구조 분석: 중국・일본・대만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레저연구, 32(2), 5-19.10.31336/JTLR.2020.2.32.2.5
  17. 최기홍・정주현・윤성민, 2015, “한국의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관광수요의 변동성 분석,” 호텔경영학연구, 24(4), 113-127.
  18. 최상수, 2019,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로 인한 중국 방한객 수요변동성 추정,” 호텔관광연구, 21(1), 56-69.10.31667/jhts.2019.2.78.56
  19. 하정우・김창수, 2020, “바이러스 관광위기 극복을 위한 재난회복탄력성 탐색적 연구-‘코로나 19’(COVID-19) 재난을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45(2), 499-517.
  20. 허식・지은초, 2012, “Tobit 모형을 이용한 방한 외래관광객의 지출결정요인 분석: 주요 관광시장별 비교를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27(5), 305-327.
  21. 홍미영・임은순, 2011, “충격에 따른 시변변동성의 규모와 지속성의 지역별 차이를 분석한 방한 관광수요에 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20(3), 187-205.
  22. Derudder, B., Devriendt, L., and Witlox, F., 2007, Flying where you don’t want to go: An empirical analysis of hubs in the global airline network, Tijdschrift voor economische en sociale geografie, 98(3), 307-324.10.1111/j.1467-9663.2007.00399.x
  23. Lee, C. G., and How, S. M., 2022, Hallyu tourism: impacts on inbound tourists to South Korea, Current Issues in Tourism, 25(9), 1361-1367.10.1080/13683500.2021.1924637
  24. Lewis, C.D., 1982, Industrial and Business Forecasting Methods. London: Butterworth.
  25. Miller, W.H., 1999, Airlines take to the internet, Industry Week/IW, 248(15), 130-133.
  26. Oh, S., Ahn, J., and Baek, H., 2015, The effects of social media on music-induced tourism: A case of Korean pop music and inbound tourism to Korea,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5(1), 119-141.10.14329/apjis.2015.25.1.121
  27. Sismanidou, A., Tarradellas, J., and Suau-Sanchez, P., 2022, The uneven geography of US air traffic delays: Quantifying the impact of connecting passengers on delay propagation,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98, 103260.10.1016/j.jtrangeo.2021.103260
  28. United Nations, 2010, International Recommendations for Tourism Statistics 2008(No.83), New York: UN.
  29. Voltes-Dorta, A., Rodríguez-Déniz, H., and Suau-Sanchez, P., 2017, Vulnerability of the European air transport network to major airport closures from the perspective of passenger delays: Ranking the most critical airport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olicy and Practice, 96, 119-145.10.1016/j.tra.2016.12.009
  30. 관광지식정보시스템, https://know.tour.go.kr/
  31. 문화관광연구원 해외관광인사이트(제 2023-1호), 2023년 2월 3일자, “국제관광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의 63% 수준으로 회복”, https://know.tour.go.kr/ptourknow/knowplus/kChannel/kChannelPeriod/kChannelPeriodDetail19Re.do?seq=103189
  32.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07년 2월 8일자, “내국인 출국통계 항목 조정”, https://www.mcst.go.kr/kor/s_notice/press/pressView.jsp?pMenuCD=0302000000&pSeq=8442&pTypeDept=&pSearchType=01&pSearchWord=&pCurrentPage=740
  33. 한국관광 데이터랩, 2022년 2월 18일, “연도별통계(1975-2023)”, https://datalab.visitkorea.or.kr/site/portal/ex/bbs/View.do?cbIdx=1127&bcIdx=300119&pageIndex=1&tgtTypeCd=&searchKey=&searchKey2=&tabFlag=N&subFlag=N&cateCont=spt01
  34. Government of Macao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https://www.dsec.gov.mo/en-US/Statistic?id=402
Information
  • Publisher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 Publisher(Ko) :한국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학회지
  • Volume : 13
  • No :2
  • Pages :133~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