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Canal and Strait Learning in World Geography Education
세계지리 학습에서 운하와 해협의 도입 방안과 의미 고찰
-
Sungwook Cho
조성욱
-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ways and meanings of introducing global canals and straits as materials for world geography education. …
본 연구에서는 세계지리 학습에서 세계적인 운하 및 해협을 지리교육의 소재로 도입하는 방안과 그 의미를 살펴봤다. 첫째, 운하와 해협은 지구적 스케일에서 지리적 상상력과 …
-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ways and meanings of introducing global canals and straits as materials for world geography education. First, canals and straits can cultivate geographical imagination and thinking skills on a global scale. As an example, we delved into the Bering Strait and Arctic Ocean routes. Second, geopolitical location and economic effects can be learned on a global scale. We delved into the Strait of Melaka(Malacca) as an example. Third, it is possible for learner a large area with a small amount of learning. As an example, we delved into the Strait of Bosphorus. Fourth, it is possible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region from the macro-scale and micro-scale aspects. As an example,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ez Canal and the Panama Canal and th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were examined. The introduction of global canal and strait as learning materials in geography educa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burden of learning, while developing geographic imagination and thinking skills, geopolitical and economic aspects,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regions in the global scale.
- COLLAPSE
본 연구에서는 세계지리 학습에서 세계적인 운하 및 해협을 지리교육의 소재로 도입하는 방안과 그 의미를 살펴봤다. 첫째, 운하와 해협은 지구적 스케일에서 지리적 상상력과 사고력 함양이 가능하다. 사례로 베링 해협과 북극해 항로를 살펴봤다. 둘째, 지구적인 규모에서 지정학적 위치 및 경제적 효과를 학습할 수 있다. 사례로 믈라카(말라카) 해협을 살펴봤다. 셋째, 적은 학습량으로 넓은 지역을 학습할 수 있다. 사례로 보스포루스 해협을 살펴봤다. 넷째, 거시적 측면과 미시적 측면에서 해당 지역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례로 수에즈 운하와 파나마 운하의 지리적 특성과 정치 및 경제적 상황을 살펴봤다. 지리교육에서 세계적인 운하와 해협을 학습 소재로 도입하면 학습 부담을 줄이면서도, 전 세계를 학습 대상으로 지리적 상상력과 사고력, 지정학과 경제적 측면, 지역의 종합적 이해가 가능한 세계지리 학습을 할 수 있다.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Canal and Strait Learning in World Geography Education
-
Research Article
-
An Analysis of Ecological Citizenship Research Trends: Focusing on Semantic Network Analysis
생태시민성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Byungyeon Kim
김병연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academic research on ecological citizenship in Korea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본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국내 생태시민성에 대한 학술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를 위해 지난 15년간 국내에서 이루어져 …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academic research on ecological citizenship in Korea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the study, 55 research papers on eco-citizenship were selected among 98 papers conducted in Korea over the past 15 years, and key keywords were selected through a word refinement process from the title, abstract, and key words of the paper.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studies on eco-citizenship are conducted only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wareness and practical competency in an educational context, and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argeting teachers. Second, keywords such as education, ecology, and society were playing a role as hubs in the semantic network a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degree centrality, eigenvector centrality, centrality of between, and closeness centrality were all high. Third, keywords such as ‘relationship’, ‘practice’, and ‘human’ have higher centrality compared to their frequency of occurrence, indicating that they are highly influential keywords within the semantic network.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education, and problems were not dealt with as important topics in ecological citizenship research because the centrality of keywords was low compared to the frequency of occurrence.
- COLLAPSE
본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국내 생태시민성에 대한 학술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를 위해 지난 15년간 국내에서 이루어져 온 98편의 논문 중 55편의 생태시민성에 대한 연구 논문을 선정하고, 논문의 제목, 초록, 핵심어로부터 단어 정제 과정을 거쳐 핵심 키워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태시민성 연구가 대부분 교육적 맥락 속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생태시민의 인식 및 실천 역량 함양과 관련한 실행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예비 및 현직 교사 교육과 관련한 실행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교육’, ‘생태’, ‘사회’와 같은 키워드는 의미연결망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고, ‘관계’, ‘실천’, ‘인간’ 등과 같은 키워드의 경우 출현빈도에 비하여 키워드의 중심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의미연결망 내에서 영향력이 크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후변화’, ‘환경교육’, ‘문제’ 등은 출현빈도에 비하여 키워드의 중심성이 낮아 생태시민성 연구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생태시민성 연구의 방향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An Analysis of Ecological Citizenship Research Trends: Focusing on Semantic Network Analysis
-
Research Article
-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Automatic Scoring of Written Test Using ChatGPT: Focusing on the World Geography Written Test
ChatGPT를 활용한 서・논술형 평가 자동 채점 가능성 탐색: 세계지리 서・논술형 평가를 중심으로
-
Jeong-won Seong, Byoung-chul Shin
성정원, 신병철
- In this stud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scoring results of teachers and ChatGPT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using ChatGPT-4 for …
본 연구에서는 ChatGPT를 활용하여 서・논술형 평가문항의 채점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교사와 ChatGPT의 채점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계지리 기후 단원의 서・논술형 …
- In this stud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scoring results of teachers and ChatGPT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using ChatGPT-4 for scoring written tests. For this study, we developed written test questions and scoring criteria based on the World Geographic Climate Unit. Three geography teachers with over 15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scored the questions twice. Additionally, ChatGPT performed scoring under different conditions: presenting only the rubric, presenting the rubric and example answers, and presenting the rubric, example answers, and critical scoring instructions. We then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Question 1, which had a relatively accurate correct answer, exhibit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teachers’ scoring results when the rubric, example answer, and critical scoring instructions were provided. This correlation is believed to meet the criteria for intra-scorer reliability (a correlation of 0.6 or higher) for written tests. However, Question 2, whose scoring can be very subjective, did not meet the reliability criteria for intra-scorer reliability in the scoring involving the rubric, example answer, and critical scoring instructions. Nonetheless, a correlation value similar to that obtained by three teachers for Question 2 was found. When scoring written tests using ChatGPT, it can function as an assistant teacher by presenting prompts with rubrics, example answers, critical scoring instructions, or rubrics and example answers.
- COLLAPSE
본 연구에서는 ChatGPT를 활용하여 서・논술형 평가문항의 채점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교사와 ChatGPT의 채점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계지리 기후 단원의 서・논술형 평가문항과 평가기준을 개발하고, 15년 이상 교육경력의 지리 교사 3명이 2차에 걸쳐 채점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ChatGPT는 평가기준만 제시한 경우, 평가기준・예시답안만 제시한 경우, 평가기준・예시답안・비판적으로 채점 명령을 제시한 경우로 나누어 채점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적 정확한 정답이 있는 1번 문항은 평가기준・예시답안・비판적으로 채점 명령을 제시한 경우, 그리고 평가기준・예시답안을 제시한 경우에 교사의 채점 결과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서・논술형 평가의 채점에서 교사 간 신뢰도 기준(상관관계 .6 이상)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채점자의 주관이 많이 개입될 수 있는 2번 문항은 평가기준・예시답안・비판적으로 채점 명령을 제시한 경우, 논술형 평가의 채점에서 요구하는 교사 간 신뢰도 기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하지만 ChatGPT의 채점 결과는 2번 문항에 대한 지리 교사 간 상관관계와 유사한 값이 나왔다. ChatGPT를 활용하여 서・논술형 평가 문항을 채점할 경우, 평가기준・예시답안・비판적으로 채점 명령, 또는 평가기준・예시답안을 제시하는 프롬프트를 활용하면 보조 교사로서 채점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Automatic Scoring of Written Test Using ChatGPT: Focusing on the World Geography Written Test
-
Research Article
-
The Utilization of Holistic Geography for Lea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morphology and Human Life
대지형과 인간 생활의 관계 학습을 위한 홀리스틱 지오그래피(Holistic Geography)의 활용
-
Minsung Kim, Yisung Kim
김민성, 김이성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holistic geography and find strategies to utilize the holistic geography approach, …
이 연구의 목적은 홀리스틱 지오그래피 개념을 소개하고, 지리 교과의 대지형을 사례로 홀리스틱 지오그래피 접근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홀리스틱 지오그래피는 …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holistic geography and find strategies to utilize the holistic geography approach, adopting macro-morphology as an example. Holistic geography encompasses all parts of the earth, or the main study subject of geography. It deepens understanding and expands the scope by integrating elements across various topics. This study analyzes the way macro-morphology is dealt with in geography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geography curriculum, and presents the case of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from the perspective of holistic geography so that it can be used for learning the impact of macro-morphology on human life, which is emphasized in the 2022 revised Global Citizen and Geography curriculum. This example effectively shows that even if the same natural disaster occurs, its impact can vary from region to region, depending on physical and human geographic conditions, allowing students to recognize the usefulness of holistic geograph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offers practical strategies from a holistic geography perspective, and can provide insight into writing textbooks and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tactic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COLLAPSE
이 연구의 목적은 홀리스틱 지오그래피 개념을 소개하고, 지리 교과의 대지형을 사례로 홀리스틱 지오그래피 접근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홀리스틱 지오그래피는 지리학의 주요 연구 대상인 지구에 관한 모든 부분을 포괄하는 지리로 다양한 주제에 걸친 요소들을 통합하여 이해의 폭을 깊게 하고 범위를 확장하는 접근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세계지리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 대지형이 다루어지는 방식을 분석하고, 2022 개정 세계시민과 지리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대지형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 홀리스틱 지오그래피 관점에서의 동일본 대지진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 사례는 동일한 자연재해가 발생하더라도 자연지리적, 인문지리적 조건에 따라 그것이 미치는 영향이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어 지역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홀리스틱 지오그래피의 유용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 연구는 홀리스틱 지오그래피 관점에서의 실질적인 지리학습 전략을 제시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집필, 교수학습 전략 개발 등에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
The Utilization of Holistic Geography for Lea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morphology and Human Life
-
Research Article
-
A Self-Study of Teacher on the Practice of Convergence Education in Geography Class
지리 수업에서 융합 교육의 실천에 대한 교사의 자기 연구
-
Howook Lee
이호욱
- This study reflects on the convergence education that a geography teacher practiced at a science high school through self-study. The teachers’ self-study …
이 연구는 지리교사가 과학고에서 실천한 융합 교육을 자기 연구 방법을 통해 성찰한 것이다. 교사의 자기 연구는 자신의 교육 활동을 성찰하면서 교사의 전문성을 …
- This study reflects on the convergence education that a geography teacher practiced at a science high school through self-study. The teachers’ self-study allows them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while reflecting on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The reflection process of the researcher on the practice of convergence education in geography classes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In the exploration stage, geography classes were organized with a focus on content and methods related to physical geography, geospatial technology, and various subjects. In the development stage, geography classes involved student-led convergence projects and world map creation using geospatial technology. In the transition stage, geography classes were guided by linking the content and methods of geography to other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and science as needed to understand geography, which is central. In particular, the last stage recognizes that in-depth learning in geography classes requires considering different perspectives and suggests the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geography and the direction of universal convergence education.
- COLLAPSE
이 연구는 지리교사가 과학고에서 실천한 융합 교육을 자기 연구 방법을 통해 성찰한 것이다. 교사의 자기 연구는 자신의 교육 활동을 성찰하면서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게 해준다. 지리 수업에서 융합 교육의 실천에 대한 연구자의 성찰 과정은 세 단계로 구분되었다. 모색기에는 자연지리, 지리공간기술 그리고 다른 과목과 연계 가능한 내용과 방법을 중심으로 지리 수업을 구성하였다. 발전기에는 지리공간기술을 활용하여 학생 주도로 융복합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세계지도를 직접 제작하는 지리 수업을 진행하였다. 전환기에는 지리를 중심으로 이를 이해하는 데 필요에 따라 다른 과목의 내용과 방법을 연계하여 지리 수업을 지도하였다. 특히, 전환기의 방안은 깊이 있는 지리 학습을 위해 다양한 관점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시켜주고, 지리학의 융복합적인 특성과 보편적인 융합 교육의 방향을 시사한다.
-
A Self-Study of Teacher on the Practice of Convergence Education in Geography Class
-
Research Article
-
지형 인자로 본 대전시 우암사적공원의 입지 순위 분석
Analysis of Location Ranking of Uam Historic Park in Daejeon based on Topographic Factors
-
MyungJa Jeong, JiHoon Park
정명자, 박지훈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reveal the location environment ranking of single and multiple factor using topographical factors for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시 우암사적공원의 건물들에 대하여 지형 인자를 활용하여 단일 인자와 복수 인자의 입지환경 순위를 종합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지형 …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reveal the location environment ranking of single and multiple factor using topographical factors for the bulidings in Uam Historical Park in Daejeon. For this perpose elevation, gradient, slope and jwa-hyang (坐向) were used as terrain factor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① The first place in the loaction environment considered as a single factor was Sadang and NamganJeongsa which were influenced by slope and jwa-hyang. ② The first place in the loaction environment wiewed by multiple factor was Sadang and NamganJeongsa and single factor influenced the ranking of multiple factor. ③ In the overall ranking, the topographical factors that affect the location environment are in the order of jwa-hyang > slope > gradient > elevation above sea level. ④ The higher the location environment ranking, the more the bulidings function and topography match.
- COLLAPSE
본 연구의 목적은 대전시 우암사적공원의 건물들에 대하여 지형 인자를 활용하여 단일 인자와 복수 인자의 입지환경 순위를 종합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지형 인자로 해발고도, 경사도, 사면향, 좌향을 활용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단일 인자로 본 입지환경의 우선순위는 사당, 남간정사로 지형 인자 중 사면향과 좌향이 순위에 영향을 주었다. ② 복수 인자로 본 입지환경 우선순위는 사당, 남간정사로 단일 인자가 복수 인자의 순위에 강하게 영향을 주었다. ③ 종합적 입지환경의 상위 3순위를 통해 건물의 입지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지형 인자는 좌향 > 사면향 > 경사도 > 해발고도의 순서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④ 입지환경 순위가 높을수록 건물의 기능이 지형과 부합하였다.
-
지형 인자로 본 대전시 우암사적공원의 입지 순위 분석
-
Research Article
-
Characteristics and Change of Spatial Distribution by Age: Focusing on Seoul
연령에 따른 거주지의 공간 분포 특성과 변화: 서울시를 중심으로
-
You Jin Hong
홍유진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d comprehensively analyze the phenomenon in which living spaces are differentiated by age group …
본 연구는 대도시 내에서 거주공간이 연령집단에 의해 분화되는 현상을 실증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2000년과 2021년의 두 시점에서 육각형 그리드를 …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d comprehensively analyze the phenomenon in which living spaces are differentiated by age group in large cities. First, at two time points, 2000 and 2021, a hexagonal grid was created through a kernel density to allocate the population by age,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residence by age group was confirmed through the standardized score of dissimilarity of each cell.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s where specific age groups are concentrated were compared in terms of ability to afford housing costs, density, and employment accessibility. Finally, the overall level of residential segregation by age group was analyzed through the segregation index, dissimilarity index, and global Moran’s I.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residence were different for each age group, and that the residence and characteristics for each age group also changed over time, except for the young adults (25-34 years old). Second, while the degree of segregation between age groups increased over time, the degree of segregation among young people increased the most. On the other hand, the degree of clustering increased in the same age group, and this was also conspicuous in the young adult group. That is, while the degree of segregation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increased, the degree of clustering within the same group increased.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residence between age groups and that the level of segregation between age groups has increased over time. However, the part about the difference within the same age group seems to require additional research.
- COLLAPSE
본 연구는 대도시 내에서 거주공간이 연령집단에 의해 분화되는 현상을 실증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2000년과 2021년의 두 시점에서 육각형 그리드를 생성하여 커널밀도에 기반하여 연령집단별로 인구를 할당하고 각 셀의 표준화상이점수를 통해 연령집단별 주거지의 공간적 분포 패턴을 확인하였다. 둘째, 특정 연령집단이 집중되어 있는 지역의 특성을 주거비 부담 능력, 밀도, 고용 접근성의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반적인 연령집단별 주거지 분리 수준을 분리지수와 상이지수, 그리고 전역적 모란지수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령집단별로 거주지의 공간분포 및 특성이 상이하고, 청년층(25~34세)을 제외하고 시기에 따라 연령별 거주지 및 특성도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시간이 지나면서 연령집단 간 분리 정도가 커진 가운데 청년층의 분리 정도가 가장 크게 증가했다. 반면 동일 연령집단에서는 군집정도가 커졌고 이 역시 청년층에서 두드러졌다. 즉, 상이한 연령집단 사이의 분리 정도는 증가한 가운데 동일집단 내에서의 군집성은 커졌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을 통해 연령집단 간 거주공간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연령집단 간 분리 수준이 커졌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동일 연령집단 내에서의 차이에 대한 부분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Characteristics and Change of Spatial Distribution by Age: Focusing on Seoul
-
Research Article
-
A Comparative Analysis of Methods for Small Area K-12 Student Enrollment Projections in Korea: The Case of Daegu and Kyungpook
우리나라 시군구 초・중등학교 학생 수 추계 방법 비교 분석: 대구・경북을 사례로
-
Daeheon Cho
조대헌
- With the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the need to understand changes in the number of K-12 student enrollment is increasing, but …
학령인구의 감소와 함께 초・중등학교 학생 수의 미래 변화를 파악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그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
- With the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the need to understand changes in the number of K-12 student enrollment is increasing, but systematic assessment on the methods has not been properly conducted.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methods for student enrollment projections in small areas based on empirical data in the context of practical application. First, main methods for enrollment projections(share method, ratio method, cohort-component method) were selected and a projection framework for applying them to small areas was proposed. Then, we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the projection methods by comparing the estimated results from them in recent years to the actual value. As a result, the cohort-component method, which relies on the first-grade enrollment rate and grade progression rate, turned out to be the best. The approach of controlling the projection results from small areal units to match the results of the larger units was more effective. However, there were some deviations and patterns in percent error among cities, indicating that geographical factors such as migration or commuting across residential administrative boundaries were involved. This implies useful suggestions for future improvements in small area enrollment projection methods.
- COLLAPSE
학령인구의 감소와 함께 초・중등학교 학생 수의 미래 변화를 파악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그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실질적인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관찰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군구 수준의 소지역 학생 수 추계 방법들의 적용성을 비교・검토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학생 수 추계에 이용될 수 있는 주요 방법(할당법, 비율법, 코호트-요인법)들을 선정하고, 이들을 시군구 수준에 적용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이어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과거 일정 기간의 경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근 수년간의 학생 수 변화를 추계한 후 실제 학생 수 변화와 비교함으로써 추계 방법들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지역 내 학생들의 취학률 및 학년간 진급률을 핵심 요소로 하는 코호트-요인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드러났는데, 상위 단위(시도)의 학생 수 추계 결과로 하위 단위(시군구) 추계 결과를 통제하는 방식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시군구 간에는 오차율에서 상당한 편차가 존재하였는데, 인구이동이나 거주지 행정구역을 넘는 통학 등 지리적인 특성이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향후 소지역 학생 수 추계 방법의 개선을 위한 유용한 시사를 제공한다.
-
A Comparative Analysis of Methods for Small Area K-12 Student Enrollment Projections in Korea: The Case of Daegu and Kyungp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