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
Exploring Educational Applications of Nature-Based Solutions in Geography
자연기반해법의 지리교육적 활용 방안 탐색
-
kyungrim Harm
함경림
- Nature-Based Solutions(NbS) are transformative concepts that aim to address social problems in an integrated manner by working with nature, challenging the dichotomous …
자연기반해법은 ‘자연’과 협력하여 사회적 문제를 통합적으로 해결하려는 변혁적 개념으로, 인간과 자연 간의 이분법적이고 종속적인 관계를 극복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
- Nature-Based Solutions(NbS) are transformative concepts that aim to address social problems in an integrated manner by working with nature, challenging the dichotomous and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geographical educational applications for climate chang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by examining the context, values, and limitations of nature-based solutions. The key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essential to apply solutions that are tailored to the unique geographic processes of a landscape, considering regional differences and scale, even within the same ecosystem. Students can learn how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solutions vary by examining specific examples that reflect these differences. Second, students can analyze everyday landscapes where NbS have been implemented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s and geographic processes associated with these solutions. This enables a deeper understanding of community efforts and strategies to address climate change. Third, spatial visualization activities for evaluating nature-based solution projects or narrative-based lessons involving diverse stakeholders surrounding nature-based solutions can help students develop the ability to think critically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justice.
- COLLAPSE
자연기반해법은 ‘자연’과 협력하여 사회적 문제를 통합적으로 해결하려는 변혁적 개념으로, 인간과 자연 간의 이분법적이고 종속적인 관계를 극복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기반해법의 맥락, 가치, 그리고 한계를 검토함으로써 기후변화 및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한 지리 교육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기반해법은 동일한 생태계라 하더라도 지역 간의 차이와 스케일을 고려하여 해당 경관의 독특한 지리적 프로세스에 적합한 해결책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생들은 이러한 차이와 스케일에 따른 해결책의 변화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학습할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은 자연기반해법이 적용된 일상적 경관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경관에 내재한 사회적·역사적 맥락과 지리적 프로세스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수행하는 노력과 해결 방안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하다. 셋째, 자연기반해법 프로젝트를 평가하기 위한 공간적 시각화 활동이나, 자연기반해법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 당사자의 내러티브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이 공간 정의 관점에서 이를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
Exploring Educational Applications of Nature-Based Solutions in Geography
-
Research Article
-
An Analysis of AI Chatbot Utilization and Learning Data in Middle School Geography Education: Examining Student’s Queries and Perceptions
중학교 지리 수업에서의 AI 챗봇 활용과 학습 데이터 분석: 학생들의 질문 유형 및 인식을 중심으로
-
Soyoung Lee
이소영
-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chatbots in middle school geography education, by analyzing students’ use of and perceptions on …
본 연구는 중학교 지리 수업에서의 챗봇 활용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질문 내용과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챗봇의 활용 가능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
-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chatbots in middle school geography education, by analyzing students’ use of and perceptions on chatbots.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llected middle school student’s chatbot queries in Gyeonggi Province, and also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on the chatbot as a geography education tool.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ast majority of student queries are focused on ‘remembering geographical facts’ or ‘understanding conceptual knowledge’, both of which indicate that most student chatbot queries are based on lower-order thinking. Second, most students regard the chatbot as a useful tool for geographical learning as they are able to ask questions to the online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However, many students have found it inconvenient. For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 chatbot’s inability to provide little to no informative response, which is resulting from insufficient in-built dataset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e training data construction for the chatbots and also provide useful insights for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chatbot designs.
- COLLAPSE
본 연구는 중학교 지리 수업에서의 챗봇 활용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질문 내용과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챗봇의 활용 가능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질문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챗봇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질문 분석 결과, 대부분의 질의가 ‘지리적 사실의 기억’이나 ‘개념의 이해’ 수준에 편중되어 있었다. 즉, 고차원적 사고보다는 저차원적 사고를 요하는 질문이 주를 이루었다. 둘째, 인식 조사 결과, 학생들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챗봇에 질문할 수 있어 지리 학습에 유용하다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부족한 데이터 세트로 인해 챗봇이 답변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점에 대해서는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지리과 AI 챗봇의 초기 데이터 구축 및 설계를 위한 실질적 토대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An Analysis of AI Chatbot Utilization and Learning Data in Middle School Geography Education: Examining Student’s Queries and Perceptions
-
Research Article
-
‘The Meaning of Travel’ in Travel Geography Subjects
고등학교 여행 지리 과목에서의 ‘여행의 의미’
-
Jeongjoon Oh
오정준
- This study aims to extract the differences between alternative travel depicted in high school travel geography textbooks and alternative travel in reality,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여행 지리 교과서에 재현된 대안 여행과 현실에서 나타난 대안 여행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양자 간에 나타난 차이를 추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
- This study aims to extract the differences between alternative travel depicted in high school travel geography textbooks and alternative travel in reality, and to re-examine ‘the meaning of travel’ in travel geography subjects that currently focus on alternative travel based on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alternative travel described in the two textbooks is a solution to mass tourism and is reproduced as the original form of early alternative travel. However, alternative travel in reality did not match the original form in terms of quantitative expansion and influence on the local community, and rathe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mass tourism. The reason for the discrepancy between textbooks and reality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internalizing the dichotomous perception that alternative travel is ‘good’ travel and mass tourism is ‘bad’ travel.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meaning of travel’ in travel geography was reconsidered by suggesting three key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reject the dichotomous distinction between travel and tourism through a change in percep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ravel as student’s everyday life experience in textbooks by considering ‘the meaning of travel’ that students think and practice. Lastly, ‘the meaning of travel’ in travel geography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arly stages of alternative travel, but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mass tourism.
- COLLAPSE
본 연구는 고등학교 여행 지리 교과서에 재현된 대안 여행과 현실에서 나타난 대안 여행을 비교ㆍ분석함으로써 양자 간에 나타난 차이를 추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현재 대안 여행에 초점을 두고 있는 여행 지리 과목의 ‘여행의 의미’를 재음미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결과, 2종의 교과서에 서술된 대안 여행은 대중 관광의 해결책이자, 초기 대안 여행의 원형적 모습으로 재현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의 대안 여행은 양적 팽창과 지역사회에 대한 영향 측면에서 원형적 모습과 일치하지 않았고, 오히려 대중 관광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와 현실이 일치하지 않는 원인은 대안 여행을 ‘좋은’ 여행으로 상정하고, 대중 관광을 ‘나쁜’ 여행으로 간주하는 이분법적 인식을 내면화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통해 3가지 핵심 제언을 제시함으로써 여행 지리의 ‘여행의 의미’를 재고하였다. 먼저, 인식의 전환을 통해 여행과 관광에 관한 이분법적 구분을 기각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이 생각하는 ‘여행의 의미’를 고려함으로써 학생이 현재 실천하는 일상 경험으로서의 여행 방식을 여행 지리 교과서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여행 지리 과목에서 표방하는 ‘여행의 의미’를 대안 여행의 초기 모습에 국한하지 말고, 대중 관광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다.
-
‘The Meaning of Travel’ in Travel Geography Subjects
-
Research Article
-
Geography Educational Effects of Geographic Fieldwork:Focus on the Cognitive Aspect
지리 답사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논의: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
Sungwook Cho
조성욱
- This study focused on the educational effect in cognitive aspect of geographic fieldwork, among the various educational effects. To summarize the cognitive …
본 연구에서는 지리 답사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 중, 가장 본질적인 인지적 측면에서의 교육적 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봤다. 지리 답사의 인지적 측면에서의 효과는, 첫째, …
- This study focused on the educational effect in cognitive aspect of geographic fieldwork, among the various educational effects. To summarize the cognitive aspects of geographic fieldwork, first,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construct the fragmented geographic knowledge based on experience and convert it into one’s own practical knowledge. Second, it is possible to deep the formation and understanding process of knowledge by recognizing differences between textbooks and phenomena in the real world. Third, it revitalizes the utilization and connection of knowledge by re-meaning the existing geographic knowledge. Fourth, by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in-depth understanding due to the spiral learning effect, learned contents in the classroom are further strengthened. Fifth, the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he affective and cognitive domains provides an opportunity for in-depth understanding based on internal motivation rather than superficial understanding. Sixth,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actively express one’s knowledge through activ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rather than thought.
- COLLAPSE
본 연구에서는 지리 답사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 중, 가장 본질적인 인지적 측면에서의 교육적 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봤다. 지리 답사의 인지적 측면에서의 효과는, 첫째, 파편적으로 존재하던 지리 지식들을 경험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자신의 실천적 지식으로 전환하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둘째, 교과서와 실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의 차이를 인식하여, 지식의 형성과 이해 과정을 깊이 있게 할 수 있다. 셋째, 기존에 자신이 가지고 있던 지리 지식을 재의미화하여, 지식의 활용도와 지식 간 연결을 활성화한다. 넷째, 나선형 학습 효과로 인하여 심층적 이해의 기회를 제공하여, 교실에서 학습한 내용을 더욱 강화한다. 다섯째, 정의적 영역과 인지적 영역의 긍정적 상호작용으로, 피상적인 이해가 아닌 내적 동기에 기반한 심층적 이해의 기회를 제공한다. 여섯째, 능동적인 참여와 행동화를 통하여, 자신의 지식을 능동적으로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Geography Educational Effects of Geographic Fieldwork:Focus on the Cognitive Aspect
-
Research Article
-
Klafki’s Didactical Analysis, Theory of Knowledge and It’s Application to Geography Education
독일 Klafki의 Didactical Analysis와 지식론의 지리교육에의 적용 방안
-
Tae-Yeol Seo
서태열
- German Didaktik has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with the ‘curriculum’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The former focuses on ‘why’ and ‘what’, …
독일의 교수학은 영미권의 교육과정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데, 독일의 교수학은 ‘왜’ 그리고 ‘무엇’에 초점을 두는 반면, 영미권의 교육과정은 ‘어떻게’에 초점을 둔다. …
- German Didaktik has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with the ‘curriculum’ in English speaking countries. The former focuses on ‘why’ and ‘what’, on the contrary the latter focuses on ‘how’. The former integrates curriculum and instruction, on the contrary the latter separates curriculum and instruction. Particularly German Didaktik starts with the concept of Bildung which has central purpose to nuture human abilities in the interaction with content, and has a special tool of Didaktik triangle to feature specific educational situation which is composed of three components of teacher, student and content. German Didaktik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f allgemeine Didaktik which aims to cultivate personality and Fachdidaktik which focus on specific subject content. Klafki integrates materiale Bildung and formale Bildung into categoriale Bildung to combine the content and method in education, and using categoriale Bildung he suggested Didactical analysis model which has five stages of identifying general meaning and suggesting example, identifying meaning of the content, the importance of content in the future, structuring contents, and identifying the condition of contents. Referring to this model, identifying meaning and importance of geography content, structuring and representing geography contents are needed; Considering progression and learning path, knowledge forming process, integrating curriculum- teaching- learning are requested in geography education.
- COLLAPSE
독일의 교수학은 영미권의 교육과정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데, 독일의 교수학은 ‘왜’ 그리고 ‘무엇’에 초점을 두는 반면, 영미권의 교육과정은 ‘어떻게’에 초점을 둔다. 독일 교수학은 영미권의 교육과정과 교수를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반면, 영미권은 교육과정과 교수를 분리하여 다룬다. 독일 교수학의 출발점은 교수의 중심적 목적을 내용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인간능력의 육성이라는 Bildung의 개념으로 설명하고, 교양있는 인격의 함양에 초점을 두는 일반교수학과 특정한 내용에 초점을 두는 교과교수학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교수학의 여러 가지 양상들은 교사, 학생, 교과라는 세 가지 구성요소에 의해 표현되는 교수학 삼각형Didaktik triangle에 의해 설명된다. Klafki는 독일 교수학의 기저개념인 Bildung이 내용으로서 지식에 중점을 두는 materiale Bildung과 학습자와 적용능력에 중점을 두는 formale Bildung으로 나누어진 것을, 내용과 방법을 함께 고려하는 categoriale Bildung으로 통합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Klafki는 내용의 일반적 의미와 실재의 예시 → 내용의 의미 → 미래에서의 중요성 → 내용의 구조화 → 내용의 조건화라는 5단계의 교수학분석(Didactical Analysis)을 제시하였다. Klafki의 교수학분석론을 적용하여, 지리교육은 지리 내용의 의미와 중요성, 지리내용의 구조화, 지리 내용의 표상과 접근성에 중점을 두면서, 지리교육과정과 지리교수에서 지식형성과정을 통합적으로 다루고, 내용적 지식과 방법적 지식을 결합하여 개인의 학습 발달의 계열성과 경로를 고려하는 것이 요구된다.
-
Klafki’s Didactical Analysis, Theory of Knowledge and It’s Application to Geography Education
-
Research Article
-
Examining the Locality of IB Curriculum Design and IB Operation Structure
IB 교육과정 설계와 IB 프로그램 운영 구조에서의 지역성 검토
-
Seungmo Chung, Sangcheol Kwon
정승모, 권상철
- This research examined the degree of locality of the IB curriculum and IB operation structure. To this end, we examine the status …
이 논문은 IB 교육과정과 IB 운영 구조의 지역성 정도에 대한 검토를 시도하였다. 검토는 IB의 사명과 국제적 소양, IB 프로그램 모델, IB 핵심요소(ATT, …
- This research examined the degree of locality of the IB curriculum and IB operation structure. To this end, we examine the status of IB candidate and IB world schools, the location and role of IBO Global Centers, the role and structure of the IB Educator Network (IBEN), the mission and international mindedness, the IB curriculum model, and the IB core elements (ATT, ATL) with a focus on locality. Based on this, we were able to confirm the IB’s perspective of integrating and managing local elements according to IB structure and principles, respecting regional values, balancing transnational values and locality centered on human networks, and designing local elements to act as the center of IB program activities, and connecting local elements to the various contexts. Based on this, we suggested that local communities seeking to introduce the IB should review methods, directions, and perspectives for dealing with locality from various aspects.
- COLLAPSE
이 논문은 IB 교육과정과 IB 운영 구조의 지역성 정도에 대한 검토를 시도하였다. 검토는 IB의 사명과 국제적 소양, IB 프로그램 모델, IB 핵심요소(ATT, ATL)의 지역성, 이어서 IB 인증학교의 현황, IBO 글로벌 센터의 위치와 역할, IB 교육자 네트워크(IBEN)의 역할과 구조를 지역성을 중심으로 하였다. 이로부터 IB의 지역성에 대해 지역적 요소들을 구조와 원칙에 따라 통합하여 관리하며 지역의 가치를 존중하는 IB의 관점, 인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초국적 가치와 지역성의 균헝, 지역적 요소가 교육 활동의 중심으로 작용, 지역에서의 학습을 다양한 맥락으로 연결시키는 설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IB를 도입하려는 지역사회는 지역성을 다루는 방법과 방향, 관점이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
Examining the Locality of IB Curriculum Design and IB Operation Structure
-
Research Article
-
The Distribution of Gnammas and Its Value as a Habitat in South Korea
우리나라 나마의 분포와 서식처로서의 가치
-
Kwang Hee Choi, Da Hae Go, Jae Ho Lee
최광희, 고다해, 이재호
- Landforms have interacted and co-evolved with organisms. However, compared to the processes of landform development or conservation, the role of landforms as …
지형은 생물과 상호작용하며 공진해 왔다. 그러나 지형의 발달과정이나 보전에 비해, 지형이 서식처로서 가지는 기능은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풍화지형인 …
- Landforms have interacted and co-evolved with organisms. However, compared to the processes of landform development or conservation, the role of landforms as habitats remains relatively underexplor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stribution of weathering landforms known as ‘gnamma’ in South Korea and examines their ecological function as habitats through case studies. An analysis of approximately 140 documented gnammas across the country revealed that they are widely distributed, with about two-thirds formed on granite. Gnammas, which develop through weathering processes, store water and soil within their depressions, thereby providing habitats for a variety of organisms. For instance, the gnammas at Sinseonbawi in Goseong-gun, Gangwon State were found to support diverse organisms, including fire-bellied toads, benthic macroinvertebrates, aquatic insects, aquatic plants, lichens, mosses, herbaceous plants, and shrubs. These organisms are likely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expansion and transition of gnammas during their growth process. Although this study is limited to gnamma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re-evaluates the value of landforms as a habitat, which has been overlooked until now, and suggests new directions for geomorphic surveys and research.
- COLLAPSE
지형은 생물과 상호작용하며 공진해 왔다. 그러나 지형의 발달과정이나 보전에 비해, 지형이 서식처로서 가지는 기능은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풍화지형인 ‘나마(gnamma)’의 국내 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사례 연구를 통해 나마의 서식처 기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 보고된 약 140여 개의 나마를 분석한 결과, 나마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이 중 2/3가 화강암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화과정을 통해 발달한 나마는 내부에 물과 토양을 저장함으로써 다양한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고성 신선바위 나마의 경우, 무당개구리를 비롯하여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곤충, 수생식물이 서식하며, 지의류와 이끼, 초본과 관목 등 다양한 식생이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생물들은 생육 과정에서 나마 지형의 확장과 천이에 관여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비록 나마에 국한되었지만, 그동안 간과되어 온 지형의 서식처로서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지형 조사 및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The Distribution of Gnammas and Its Value as a Habitat in South Korea
-
Research Article
-
Geomorphic Development of Lower Reached of Hwanggang River Since the Last Glacial Periods
빙기 이후 황강 하류부의 지형 발달
-
Won Jeong Shin, Jong Yeon Kim
신원정, 김종연
- The geomorphic development process during the glacial and the post-glacial periods in the downstream section of the Hwanggang River, the primary tributary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의 1차 지류인 황강 하류 구간의 빙기 및 후빙기의 지형발달과정을 고찰하였다. 황강은 해수면 변동에 따른 낙동강의 침식기준면 변화에 영향을 받은 …
- The geomorphic development process during the glacial and the post-glacial periods in the downstream section of the Hwanggang River, the primary tributary of the Nakdonggang River, were studied.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the Hwanggang River incised its bed due to the falling sea levels, eroding the current riverbed to a depth of 16-19 meters. The river longitudinal profile of the Hwanggang formed during this period is judged to be parallel to the current river profile in the case of the downstream section. During the post-glacial period, as the channel bed of the Nakdonggang River rose due to sea-level rise, sedimentation occurred along the course of the Hwanggang River. The sedimentary layer of the Hwanggang River becomes thinner as it extends upstream, appearing very shallow near the Hapcheon Dam. This suggests that the impact of the Nakdonggang River’s channel bed elevation changes did not reach the upper reaches of the Hwanggang River. The rise in riverbed elevation due to sediment inflow also affected the smaller tributaries flowing into the Hwanggang River. The valleys of these tributaries were blocked by the growth of confluence sandbars, leading to the formation of wetlands. Lacustrine wetlands in the downstream reach of the Hwanggang River, such as Jeongyangji and Bakshilji,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s of this process. Changes in the sedimentary environment of the Hwanggang River caused features such as meander cutting, etc. For instance, Yeondangji appears to have formed as a result of such a cutoff. Additionally, some tributaries seem to have developed knickpoints as the effects of accelerated downward erosion during the glacial period propagated upstream.
- COLLAPSE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의 1차 지류인 황강 하류 구간의 빙기 및 후빙기의 지형발달과정을 고찰하였다. 황강은 해수면 변동에 따른 낙동강의 침식기준면 변화에 영향을 받은 하천이다. 지난 빙기에는 현 하상에서 약 16~19m 깊이까지 침식되었으며, 이 시기 황강 하류 구간의 하천종단곡선은 현재의 하천종단면과 평행한 형태로 나타났다. 이후 후빙기 해수면 상승으로 낙동강의 침식기준면이 상승하면서 황강에도 퇴적이 발생하였다. 황강의 퇴적층은 상류로 가면서 얇아지는 양상을 보였으며, 낙동강 하상 변화의 영향은 황강 상류 부분까지 도달하지는 못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퇴적물 유입 등으로 인한 황강의 하상 고도 상승은 황강으로 유입되는 소규모 지류들에도 영향을 주었다. 지류에서 유입된 물질들이 합류부에서 지체되거나 황강 본류가 역류하여 합류사주가 성장하였고, 이로 인해 지류와의 합류부에 퇴적이 발생하면서 습지가 형성되었다. 정양지와 박실지 같은 황강 하류의 호소성 습지들은 이러한 지형발달과정의 결과물로 볼 수 있다. 황강의 퇴적환경 변화는 황강의 유로를 변동시키면서 곡류절단 등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곡류절단의 결과로 연당지가 형성되었다. 또한 일부 지류들에는 빙기의 하방침식 효과가 전파되어 경사변환점이 형성되었다.
-
Geomorphic Development of Lower Reached of Hwanggang River Since the Last Glacial Periods
-
Research Article
-
Changes in the New Town of Gyeongbuk Provincial Government and Residents’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Regional Identity
경북도청 신도시 지역의 변화와 신도시 주민의 거주 만족도 및 지역 정체성 인식
-
Jaebok Lee, Jaeseob Ahn
이재복, 안재섭
-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the Gyeongbuk provincial government complex new town area from the perspectives of population and industry. It empirically …
본 연구는 경북도청 신도시 지역의 변화를 인구와 산업 측면에서 고찰한 것으로, 신도시 거주민들의 거주 만족도와 지역 정체성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
-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the Gyeongbuk provincial government complex new town area from the perspectives of population and industry. It empirically analyzes factors that may influence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living environment and their perception of local identity through a surve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conomic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found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residents’ satisfaction with living conditions in the Gyeongbuk provincial government complex new town. Second, cultural, social, and urban planning factors of the new town were found to have relatively little effe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Third, geographical and landscape factors were foun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residents’ perceptions of local identity.
- COLLAPSE
본 연구는 경북도청 신도시 지역의 변화를 인구와 산업 측면에서 고찰한 것으로, 신도시 거주민들의 거주 만족도와 지역 정체성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 분석한 것이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북도청 신도시 거주민들의 거주 만족도에는 경제적, 환경적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신도시의 문화적, 사회적, 도시계획 요인은 거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거주민들의 지역 정체성에 대한 인식은 지리・경관적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Changes in the New Town of Gyeongbuk Provincial Government and Residents’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Regional Identity
-
Research Article
-
The Policy Direction for Advancing Smart Cities based on Digital Twin
스마트 도시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 트윈 정책 추진 방향
-
Ick-Hoi Kim
김익회
- This study presents policy directions for the advancement of smart cities through the utilization of digital twins. It begins by reviewing the …
본 연구는 디지털 트윈을 기반으로 스마트 도시의 고도화를 위한 정책 추진 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 도시와 디지털 트윈의 개념 및 발전단계들을 …
- This study presents policy directions for the advancement of smart cities through the utilization of digital twins. It begins by reviewing the concepts and development stages of smart cities and digital twins. The study then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enhancement of smart cities through digital twins, emphasizing the integration of these two concepts and their developmental phases. Furthermore, the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digital twin implementations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ties and includes surveys conducted among relevant experts to assess the concepts, the importance of each component, and the hindering factors. The analysis identifies significant obstacles related to urban digital twin services, governance, and standards. Additionally,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financial resources, professional personnel, and advancements in software technology as crucial fact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integrating and promoting domestic smart city and digital twin policies that have been pursued independently.
- COLLAPSE
본 연구는 디지털 트윈을 기반으로 스마트 도시의 고도화를 위한 정책 추진 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 도시와 디지털 트윈의 개념 및 발전단계들을 검토하고 두 개념과 발전단계들을 융합하여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 도시 고도화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도시의 디지털 트윈 구현 현황을 국내외 도시들을 통해서 살펴보았으며,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개념, 구성 요소별 중요도 및 장애요인 등을 설문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 디지털 트윈 서비스, 거버넌스, 표준 관련 문제들이 주요 장애요인을 나타났으며, 장애요인과 관련된 요소들과 더불어 재정, 전문인력,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각각 추진되어 온 국내 스마트 도시 정책과 디지털 트윈 정책들을 통합하여 추진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The Policy Direction for Advancing Smart Cities based on Digital Twin
-
Research Article
-
Detection of Abandoned Fields in Aerial Images using Deep Learning (YOLOv5)
YOLOv5를 이용한 항공 영상에서 폐경지 후보지 탐지
-
Hoyeon Choi, Jeehwa Hong, Yonghyun Kim, Jisook Song, Eunsoo Park
최호연, 홍지화, 김용현, 송지숙, 박은수
-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operates Public Direct Payment Program that provides subsidies to farmers who create public interest …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의 공익기능 증진과 농가 소득 안정을 위해 공익직불제를 운영하며, 보조금(공익지불금) 지급 대상은 농업경영체에 등록된 농지로, ‘농업농촌공익직불법’에 따라 농지의 형상과 기능이 유지되어야 …
-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operates Public Direct Payment Program that provides subsidies to farmers who create public interest functions through agriculture activities, thereby encouraging the production, maintenance, and expansion of public interest values. The domestic Agriculture Business Entities management work verifies whether there are abandoned fields (If not operated as farmland, direct payments will be reduced.) based on aerial images, and then verifies whether there is abandoned field through on-site inspection. This study aimed to detect abandoned fields in various agricultural lands by utilizing ‘The you only look once version 5(YOLOv5)’ model, which is effective in object detection of images based on aerial images. We collected aerial images of various areas targeting four objects that frequently appear in agricultural lands: graves, solar panels, buildings, and greenhouses. After cropping the aerial images into 1024x1024 resolution sizes from their actual sizes, labeling (box annotation) was perform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an acceptable average recall (AP) of approximately 0.739, and further precision improvement is expected if additional data is collected. If abandoned fields are detected through connection with the land register map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direct payment work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 COLLAPSE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의 공익기능 증진과 농가 소득 안정을 위해 공익직불제를 운영하며, 보조금(공익지불금) 지급 대상은 농업경영체에 등록된 농지로, ‘농업농촌공익직불법’에 따라 농지의 형상과 기능이 유지되어야 한다. 직불금 관리는 항공영상으로 폐경지(농지로 이용이 불가능하게 농지 형상이 변한 농경지)를 검토한 뒤 현장 확인을 통해 검증하며, 이는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된다. 본 연구는 항공영상을 기반으로 영상의 객체인식(Object Detection) 분야에서 효과적인 성능을 발휘하는 You Only Look Once Version 5(YOLOv5) 모델을 활용하여 다양한 농지의 폐경지 후보지를 탐지하고자 하였다. 대상을 농지에서 폐경지로 많이 나타나는 건물, 묘지, 온실, 태양광 시설과 같은 4가지를 대상으로 다양한 지역의 항공영상을 수집하였다. 항공영상의 실제 크기에서 1024x1024 해상도 크기로 분할한 후 라벨링(box annotation)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평균 재현율(Average Recall, AR)이 약 0.739로 준수한 결과가 나타났다. 개발된 모델을 활용한다면, 직불 업무 중 항공 영상에서 폐경지 후보지 확인 단계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지속적으로 폐경지 후보 유형을 추가하고, GIS와 연계한다면, 정확도 향상과 자동 판단을 통한 업무 자동화가 이루어질 것이라 예상된다.
-
Detection of Abandoned Fields in Aerial Images using Deep Learning (YOLOv5)
-
Research Article
-
Projecting Future Older Adults of South Korea’s Urban and Rural Areas
한국의 도시 및 농산어촌 장래 고령인구 전망과 비교
-
Oh Seok Kim, Jaeheon Jung, Nam Wook Cho, SeungPil Kang
김오석, 정재헌, 조남욱, 강승필
- South Korea’s population decline, driven by severe and persistent low fertility, inevitably leads to rapid aging. Rural areas generally experience faster aging …
극심하고 만연한 저출산에 기인한 한국의 인구감소는 필연적으로 급격한 고령화를 수반할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농촌의 고령화가 전국 평균의 고령화보다 더 빠른 것으로 알려져 …
- South Korea’s population decline, driven by severe and persistent low fertility, inevitably leads to rapid aging. Rural areas generally experience faster aging than the national average, with Busan showing the most prominent aging among metropolitan cities. The aging population ratio varies significantly depending on how regions are defined and delineated. This study forecasts future total and aging population by systematically dividing South Korea into urban and rural areas based on legal definitions. Our research reveals that urban areas show prominent increases in absolute aging population size, while rural areas demonstrate notable increases in aging population ratio, with urban accessibility hav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aging population distribution. Spatial hot spot analysis identifies areas where both absolute size and ratio of aging population are rapidly increasing, indicating an urgent need for expansion of social infrastructure such as medical and welfare facilities. This study’s significance lies in identifying spatiotemporal patterns of regional aging through legally-based territorial classification, providing fundamental data on Korea’s demographic structure at the regional level rather than conventional administrative districts.
- COLLAPSE
극심하고 만연한 저출산에 기인한 한국의 인구감소는 필연적으로 급격한 고령화를 수반할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농촌의 고령화가 전국 평균의 고령화보다 더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고, 대도시 중에서는 부산의 고령화가 가장 두드러진다. 이처럼 고령인구 비율은 지역을 어떻게 정의하고 획정하느냐에 따라 도출되는 수치가 달라진다. 본 연구는 법적 정의에 근거하여 국토를 도시와 농산어촌 등으로 투명하게 구분하고, 이에 따라 미래의 총인구 및 고령인구를 전망하였다. 그 결과, 도시지역은 절대적 고령인구 규모의 증가가, 농산어촌 지역은 고령인구 비율 증가가 두드러졌으며, 도시 접근성이 고령인구 분포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 핫스팟 분석 결과, 일부 지역에서는 고령인구의 절대적 규모와 비율이 모두 빠르게 증가하는 핫스팟이 확인되어 향후 의료, 복지 등 사회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법적 정의에 근거한 지역 구분을 통해 지역별 고령화 시공간 경향을 규명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의 인구구조를 광역시도와 같은 행정구역이 아닌 지역별 기초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rojecting Future Older Adults of South Korea’s Urban and Rural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