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An Exploratory Analysis on the Balance of Korean International Tourism Markets with Major Partner Countries: Based on the Country-Level Korean Outbound Market Size Estimation

    국제항공 여객운송 데이터를 이용한 국가별 우리나라 아웃바운드 방문객 수 추정: 주요 상대국과의 국제관광시장 불균형 분석을 목적으로

    Yongha Park

    박용하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ing balance of inbound and outbound tourism markets of Korea at the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국제관광시장의 불균형 구조에 대한 세부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 방문객 비중의 변화 추이를 상대국 단위에서 분석하는 것을 주요 …

    + READ M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ing balance of inbound and outbound tourism markets of Korea at the country scal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tourism markets from/to Korea in detail. We suggest a method for estimating the number of country-level outbound visitors, using international air passenger movement data, with examining its validity. This is an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existing outbound visitor related data. Then, we analyze the monthly changes in the inbound and outbound market structure with major partner countries (China, Japan, Taiwan, USA, Thailand, and Malaysia) in the international tourism markets in 2015~2023 with the exception of the COVID-19 pandemic period(2020~2022).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 accuracy of the estimation results varies from country to country, which is likely due to differences among the major partner countries in the level of diversity in the transportation mode and route chosen by Korean visitors for entry. Next, we find that the level of balance in the Korean inbound-outbound markets varies from country to country with their heterogeneous fluctuations.


    이 연구는 우리나라 국제관광시장의 불균형 구조에 대한 세부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 방문객 비중의 변화 추이를 상대국 단위에서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먼저 아웃바운드 방문객 자료의 가용성 제약을 고려하여 국제노선 여객운송 관련 자료를 활용한 상대국 단위의 내국인 방문객 수 추정 방법을 제시하고, 추정 결과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2015~2019, 2023년 주요 상대국(중국, 일본, 대만, 미국, 태국, 말레이시아)과의 인바운드・아웃바운드 시장 구조의 연중・연간 변동 추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국에 따라 상이한 한국인 방문객의 입국 교통수단과 경로의 다양성 수준이 아웃바운드 방문객 수의 추정 품질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우리나라 인바운드・아웃바운드 시장의 불균형 수준은 상대국에 따라 편차가 존재하며, 변동 추이 또한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국제관광 부문의 주요 현안인 시장 불균형 문제를 상대국 단위의 미시적 스케일에서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COLLAPSE
    30 June 2024
  • Research Article

    Cognitive Structural Approach to Geographic Misconception Formation Proces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지리 오개념 형성 과정에 대한 인지구조적 접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Seo-on Choi

    최서온

    From a cognitive structural viewpoint, learners are not passive but active knowledge constructors with different background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se individual …

    인지구조적인 관점에서 학습자는 동일한 조건을 지닌 수동적인 정보의 수용자가 아니라,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능동적 지식의 구성자이다. 이러한 개별적인 인지구조적 메커니즘의 대표적인 …

    + READ MORE
    From a cognitive structural viewpoint, learners are not passive but active knowledge constructors with different background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se individual cognitive structural mechanisms is misconceptions, so this study analyzed the causes of geographic misconceptions by looking at learners’ concept forming process and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s to promote significant conceptual change. To this en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derive keywords (associative concepts) composing geographic misconceptions, to identify strong concepts and link concepts that played a large part in the concept formation, and to visualize the learner’s cognitive structure by expressing a semantic network. There are thre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causes of misconceptions have the nature of the process rather than result. Second, correct concepts can also affect the formation of new misconceptions. Third, cognitive structural approaches can help teachers modify learners’ geographic misconceptions and predict misconceptions that may be formed in the future.


    인지구조적인 관점에서 학습자는 동일한 조건을 지닌 수동적인 정보의 수용자가 아니라,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능동적 지식의 구성자이다. 이러한 개별적인 인지구조적 메커니즘의 대표적인 결과물은 오개념이기에, 본 연구는 학습자가 가진 지리 오개념의 형성 과정을 인지구조적인 관점에서 조망함으로써 학습자, 교과서, 교실 안팎의 환경 등 오개념의 형성 원인을 다각적인 차원에서 분석하고 유의미한 개념변화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지리 오개념을 구성하는 키워드(연상 개념)를 도출하고, 개념 형성 과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 강력한 개념과 연결고리 개념을 정리한 후, 개념 간 의미론적 연결망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낸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오개념에 대한 형성 원인은 결과론적인 유형화가 어렵다. 둘째, 오류가 없는 지리 개념도 새로운 오개념을 형성하는 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셋째, 인지구조적인 접근 방법은 기존의 지리 오개념을 수정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 형성될 수 있는 다른 오개념을 예측하는 등 학습자의 관점에서 지리 개념 학습 과정을 이해하고 보다 효과적인 지리 교수・학습 과정을 도모할 수 있다.

    - COLLAPSE
    30 June 2024
  • Research Article

    A Study on the Defensive Function of Ancient Fortresses Using GIS Analysis From A Geomorphological: A Case Study of Gongsanseong Fortress

    지형학적 측면에서 GIS분석을 이용한 관방유적의 방어기능에 관한 연구: 공주 공산성을 사례로

    Yumin Han, Jihoon Park

    한유민, 박지훈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assess the defensive capabilities of the ancient fortress, Gongsanseong, from a visibility perspective using GIS analysis and …

    본 연구에서는 관방유적인 공산성을 대상으로 최초로 지형학적 측면에서 GIS분석을 이용하여 공산성의 방어기능을 정량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산성 내 3개 지점(공산정, 광복루, …

    + READ MORE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assess the defensive capabilities of the ancient fortress, Gongsanseong, from a visibility perspective using GIS analysis and terrain analysis. The study focuses on three locations within Gongsanseong fortress (Gongsanjeong, Gwangbokru, and presumed palace sit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From Gongsanjeong, the straight-line distance to the maximum visible point is 4 km, with a travel time of 60 minutes. From Gwangbokru, the straight-line distance to the maximum visible distance is 3.9 km, with a travel time of 57 minutes. Finally, from the presumed palace site, the straight-line distance to the maximum visible distance is approximately 2.9 km, with a travel time of about 43 minutes.2. Two main enemy routes (A and B) for attacking Gongsan fortress were identified. The earliest detection of enemy movements towards the fortress occurs within 90 and 65 minutes before reaching the Gongsanseong fortress for routes A and B, respectively. 3. Considering the maximum effective shooting range of traditional Korean archery, the most advantageous northern defense point from the castle is near Geumgang River, which presents a challenging terrain for enemy movement. Therefore, Gongsanseong fortress would have been highly advantageous for defending the northern side. This study could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future research on the defensive functions of similar historical sites.


    본 연구에서는 관방유적인 공산성을 대상으로 최초로 지형학적 측면에서 GIS분석을 이용하여 공산성의 방어기능을 정량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산성 내 3개 지점(공산정, 광복루, 추정왕궁지)을 대상으로 가시권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공산정에서 최장가시지점의 직선거리는 4km이며, 이동시간은 60분이다. 광복루에서 최장가시지점의 직선거리는 3.9km이며, 이동시간은 57분이다. 그리고 추정왕궁지에서 최장가시지점의 직선거리는 약 2.9km이며, 이동시간은 약 43분이다. ② 공산성을 공격하는 적의 이동경로는 크게 2개(이동경로 A, B)로 확인되었다. 이동경로 A와 이동경로 B에서 공산성으로 진입하는 적의 동태를 최초로 식별되는 데에는 각각 공산성 도달 90분과 65분 이전인 것으로 밝혀졌다. ③ 국궁의 최대 유효사정거리를 고려하면, 공산성에서 북쪽 방어에 유리한 최장지점은 금강 하도 부근이며 이와 같은 지형은 적군이 이동하기에 상대적으로 어려운 환경이다. 따라서 공산성은 북쪽을 방어하기에 매우 유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향후 유사한 관방유적의 방어 기능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COLLAPSE
    30 June 2024
  • Research Article

    Comparison of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Urban Shrinkage Research: Focusing on Language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국내외 도시축소 연구의 논의 비교 및 시사점: 언어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분석을 중심으로

    Hong You Jin

    홍유진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urban shrinkage discussions at Korea and abroad from various angles, draw implications, …

    본 연구는 국내외의 도시축소 논의를 다각도로 비교,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국내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텍스트 마이닝 …

    + READ M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urban shrinkage discussions at Korea and abroad from various angles, draw implications, and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domestic research. For this aim, language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methods among text mining techniques were used, and major issues of the research were identified through representative studies for each topic. Through this analysis, it was found that domestic studies often examined the urban shrinkage phenomenon and discussed the need to introduce policies to respond to overseas urban shrinkage. However, in light of international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topic needs to be diversified and that a comprehensive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region is needed to prepare countermeasures for urban shrinkage. It was confirmed that response strategies and policies should be expanded beyond physical aspects to social discussions such as residents’ quality of life, civil society, and participatory governance.


    본 연구는 국내외의 도시축소 논의를 다각도로 비교,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국내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텍스트 마이닝 기법 중 언어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분석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각 주제별 대표 연구를 통해 연구의 주요 쟁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연구는 주로 도시축소 현상에 대한 분석과 함께 국외 도시축소 대응 정책의 도입 필요성을 논의한 경우가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국외 연구에 비추어 주제의 다양화가 필요하며 또한 도시축소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종합적이고 깊이 있는 지역 이해가 필요함을 확인했다. 특히 대응 전략 및 정책에 있어 물리적 측면 외에 주민의 삶의 질이나 시민사회와 참여 거버넌스 등의 사회적 논의로 확장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 COLLAPSE
    30 June 2024
  • Research Article

    Analyzing Cultural Regions by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struments Used in the Funeral Songs in Bu-Ul-Gyeong Region

    부・울・경 지역 상부소리에 사용된 악기별 공간 분포 특성에 따른 문화지역 분석

    Geun-Bi Jeong, Dong-Ho Jang

    정근비, 장동호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musical instruments used in the funeral songs in the Busan Metropolitan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남도(이하 부・울・경)지역 상부소리에 사용되는 악기 유형별 공간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지역별 문화지역을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부・울・경 지역 상부소리에 사용된 악기는 총 …

    + READ MORE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musical instruments used in the funeral songs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Ulsa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nam-do (abbreviated as Bu-Ul-Gyeong) to classify cultural regions. As a result, a total of three funeral songs were used in the funeral songs of the Bu-Ul-Gyeong region, and a total of four sound culture regions were categorized, including the type of the funeral songs sung without musical instruments. In detail, the northern plains region is mainly distributed along the continuous plains of the Nakdong river and its tributary, the Hwang river basin, a large number of areas where drums are mainly used for the funeral songs. The western mountainous region is characterized by the Pingkyung culture, found in Geochang, Hamyang, Sancheong, and Hadong in the Sobaek mountains. The eastern intermontane and coastal region is characterized by the singing of the funeral songs without instruments, with some areas along the banks of the Nakdong river using drums. Finally, the central and southern coastal areas are mainly characterized by the use of the Kkwaenggwari, with some areas along the Nakdong river and Gahwacheon using the drum and Pingkyung.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남도(이하 부・울・경)지역 상부소리에 사용되는 악기 유형별 공간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지역별 문화지역을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부・울・경 지역 상부소리에 사용된 악기는 총 3개이며, 악기 없이 부르는 상부소리 유형을 포함하여 소리 문화 지역을 총 4개로 구분하였다. 세부적으로, 북부평야지역은 주로 낙동강과 그 지류인 황강 유역의 연속된 평야지역을 따라 상부소리에 북을 주로 치는 지역이 다수 분포한다. 서부산지지역은 핑경을 사용하는 문화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소백산맥 일대의 거창, 함양, 산청, 하동에서 나타났다. 동부산간 및 해안지역은 악기 없이 상부소리를 부르는 지역이 분포하며, 일부 낙동강 유역에 해당하는 지역에서는 북을 사용하여 부르는 지역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부 및 남부해안지역은 주로 꽹쇠를 치며 부르는 지역이 분포하며, 일부 낙동강 일대와 가화천 일대에서는 북과 핑경을 이용하여 부르는 지역이 나타났다.

    - COLLAPSE
    30 June 2024
  • Research Article

    Comparing the uses of Korean and Chinese Place Names for Baekdu Mountain, Tuman River, and Amnok River in the Literature of North Korea-China Border Region

    북・중 접경지역 문헌에서 나타나는 백두산, 두만강, 압록강의 한국식 중국식 지명 표기 비교

    Taek Goo Kang, Yebin Kim, Oh Seok Kim

    강택구, 김예빈, 김오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whether the Korean or Chinese place names of Baekdu Mountain, Tuman River,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저널에 게재된 논문 제목과 초록에서 백두산, 두만강, 압록강의 한국식 지명 표기가 더 많은지 아니면 중국식 지명 표기가 많은지 비교・분석하여, …

    + READ 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whether the Korean or Chinese place names of Baekdu Mountain, Tuman River, and Amnok River are more common in article titles and abstracts published in international journals to understand the views of the international academic community on the major landscapes of the North Korea-China border region. Based on Scopus, an international bibliographic information database, we analyzed papers related to natural landscapes in English. We found 1212, 59, and 46 articles on Baekdu Mountain, Tuman River, and Amnok River, respectively. The trends in the use of place nam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use of Chinese names was overwhelmingly higher than that of Korean names. Only 64 of the Baekdu Mountain texts used Korean names. Only four papers in the Tuman River used Korean names, and all of the Amnok River literature used only Chinese names. Second, these landscapes were rarely studied until the 1980s, with a gradual increase in recent years. Taken together, this suggests that the growing interest in key landscapes along the North Korea-China border is driven more by China than by Korea. This suggests that Chinese perspectives may be more influential in the international academic community than Korean perspectives in the study of the North Korea-China border region, where a balanced use of place names is important. Future research on the North Korea-China border should be conducted not only domestically but also internationally, and at the very least, Korean journals should be listed in international bibliographic databases to increase the exposure of Korean place nam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저널에 게재된 논문 제목과 초록에서 백두산, 두만강, 압록강의 한국식 지명 표기가 더 많은지 아니면 중국식 지명 표기가 많은지 비교・분석하여, 북・중 접경지역의 주요 경관에 대한 국제 학계의 시각을 파악하는 데에 있다. 국제 서지정보 데이터베이스인 스코퍼스(Scopus)에 근거해 국문명과 중문명을 영문화하여 자연경관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백두산, 두만강, 압록강 문헌은 각각 1212편, 59편, 46편이 검색되었고 그 지명 사용 경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문명의 사용 빈도가 국문명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백두산 문헌 중 국문명을 사용한 문헌은 64편에 불과하였다. 두만강 문헌 중 국문명을 사용한 논문은 4편이었고, 압록강 문헌은 모두 중문명만 사용하였다. 둘째, 이들 경관에 대한 연구는 1980년대까지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가 최근에 들어오면서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낸다. 즉, 북・중 접경지역 주요 경관에 대한 커지는 관심은 한국보다는 중국에 의해 견인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한국과 중국이 접경하고 있는 만큼 균형감 있는 지명 사용이 중요한 북・중 접경지역 연구에서 중국의 관점이 한국의 관점보다 국제 학계 및 국제사회에 더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음을 이는 시사한다. 향후 북・중 접경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국내 학계뿐만 아니라 국제 학계에서도 활발히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 정부 차원에서는 최소한 국내저널의 국제 서지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재를 지원하여 한국식 지명의 노출을 증대하는 것이 요구된다.

    - COLLAPSE
    30 June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