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
Effects of an Empathy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More-than-human Geographies on High School Students’ Empathy
인간 너머의 지리 관점을 반영한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
Heeyeon Moon · Minsung Kim
문희연 · 김민성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mpathy education program that reflects a more-than-human geographical perspective and to analyze its …
이 연구의 목적은 인간 너머의 지리 관점을 반영한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해당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 …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mpathy education program that reflects a more-than-human geographical perspective and to analyze its effects on students’ empathy. The program centers around the Chernobyl nuclear disaster as an empathetic context and utilizes Svetlana Alexievich’s Voices from Chernobyl as a key instructional material. The program was designed to foster empathy toward various human and nonhuman subjects affected by the even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athy education program incorporating a more-than-human geographical perspective effectively enhanced students’ empathy. All sub-components of empathy, including perspective-taking, imaginative engagement, empathic awakening, and empathic concern,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the program meaningfully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scope of empathic targets. Participants developed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empathize with not only humans but also natural elements and non-human ent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s the potential for empathy education by integrating more-than-human geographies, and offers a practical approach to implementing empathy education within the context of geography education.
- COLLAPSE
이 연구의 목적은 인간 너머의 지리 관점을 반영한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해당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 사고를 공감적 상황으로 설정하고,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체르노빌의 목소리: 미래의 연대기’를 수업 도구로 활용하여 인간과 비인간을 포함한 다양한 주체의 문제 상황에 공감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 너머의 지리 관점을 반영한 공감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조망 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각성, 공감적 관심 등 공감의 모든 하위 영역 점수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둘째, 공감 대상 범위의 확장과 관련해서도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참여자들은 본 프로그램을 통해 인간을 넘어 자연물, 비인간 주체에 대해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증진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인간 너머의 지리 관점과 공감교육을 결합하여 새로운 공감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지리교육 맥락에서 공감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접근 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Effects of an Empathy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More-than-human Geographies on High School Students’ Empathy
-
Research Article
-
Rethinking Architecture-Related Learning Themes in Geography Education: the Necessity and Potential of New Geography Learning Themes Integrating Architecture and Geography
지리교육과정에서의 건축 관련 학습주제에 대한 성찰과 과제: 건축과 지리를 융합한 새로운 지리학습 주제 개발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중심으로
-
Seung Hee Shim
심승희
- This study explores the integration of architecture into geography education in response to rising public interest, the expanding institutional role of architecture …
본 연구는 건축에 대한 높아진 사회적 관심과 건축이 공공 삶에 미치는 제도적 영향력 강화 그리고 최근 지리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진로 비전의 강조와 …
- This study explores the integration of architecture into geography education in response to rising public interest, the expanding institutional role of architecture in public life, and recent curricular reforms in Korea. A review of the curriculum shows that traditional architecture-related themes -especially vernacular houses— remain constrained by environmental determinism and residual culture-oriented. Recent revisions, however, have introduced themes of sustainable practices and the creation of high-quality residential environments, reflecting a paradigm shift toward practical competencies for desirable place-making. To advance this shift, the study proposes three thematic directions: modernizing traditional themes with sustainability education, examining changes in architecture and everyday life through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fostering active citizenship through learning the basic concepts of architectural design.
- COLLAPSE
본 연구는 건축에 대한 높아진 사회적 관심과 건축이 공공 삶에 미치는 제도적 영향력 강화 그리고 최근 지리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진로 비전의 강조와 새로운 지리학습 주제 개발의 필요성에 부응하여 건축학의 성과를 융합하여 지리교육의 지평을 확장하려는 배경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지리교육과정에서 건축 관련 학습주제 및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어 왔는지 성찰하고, 건축과 지리를 융합한 새로운 지리학습 주제 개발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지리교육과정에서 건축 관련 전통적 학습 주제는 크게 3가지(자연환경을 반영한 전통가옥, 종교경관으로서의 사원 건축, 도시 내부구조와 경관으로서의 건축물)이다. 최근에는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질 높은 정주환경 조성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건축적 실천, 이 두 주제를 중심으로 새로운 건축 관련 지리학습 내용이 풍부해지고 있다. 이는 바람직한 장소 만들기라는 실천적 역량 함양을 중시하는 지리교육 패러다임의 전환과 맞물려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건축과의 융합을 통한 지리학습 주제 개발 영역으로, 전통적 지리학습 주제의 현대화 및 지속가능성 교육 강화, 기술 발달에 따른 건축공간과 생활의 변화, 건축 설계 관련 기초 개념 학습을 통해 정주환경의 질을 개선하는 능동적 시민 되기를 제안하였다.
-
Rethinking Architecture-Related Learning Themes in Geography Education: the Necessity and Potential of New Geography Learning Themes Integrating Architecture and Geography
-
Research Article
-
Transformative Directions in Geography Education through Critical Geopolitics: Focusing on Global Citizenship and Geography
비판지정학을 활용한 지리 교수학습의 전환적 탐색: 세계시민과 지리를 중심으로
-
Yeongwoo Beom
범영우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transformative direction for geography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본 연구는 지리교육에서 비판지정학의 관점을 적용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지리 교수학습 방향성을 전환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비판지정학은 국가 중심의 지정학 담론이 객관적 사실이 …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transformative direction for geography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y applying the perspective of critical geopolitics within geography education. Critical geopolitics posits that geopolitical discourses centered on the state are not objective truths but socially constructed narratives that reflect specific political agendas. From this standpoint,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a critical awareness that challenges fixed and binary spatial thinking. Such a perspective underscores the fluid and unstable nature of geographical realities, enabling students to develop a more dynamic and multilayered understanding of various regions and nations around the world. In particular, this study critically reconstructs traditional geographical perceptions that have been shaped by the peninsula-centered discourse of division and Cold War spatial scales. It highlights the educational potential for fostering a global civic perspective that transcends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notes that the 「Global Citizenship and Geography」 course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provides geopolitical knowledge that is not confined to the spatial scale shaped by the Korean Peninsula’s division discourse and the Cold War regime, but instead possesses the dynamism to transcend such limitations. It argues that a critical geopolitical approach can offer the necessary dynamism to overcome these constraints. Accordingly, the study proposes geography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at facilitate an expanded understanding of the political and geographical contexts of space, while fostering students’ abilities for integrative reasoning and problem-solving amid complex international affairs. Ultimately, the application of critical geopolitics is expected to enhance students’ geographical imagination and critical global citizenship, thereby broadening the educational horizon of school geography.
- COLLAPSE
본 연구는 지리교육에서 비판지정학의 관점을 적용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지리 교수학습 방향성을 전환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비판지정학은 국가 중심의 지정학 담론이 객관적 사실이 아닌, 특정 정치적 목적을 반영한 사회적 구성물임을 전제하며, 이를 통해 공간에 대한 고정적이고 이분법적인 사고를 전환하는 비판적 인식을 강조한다. 이러한 관점은 지리적 현실이 고정불변하지 않고 유동적이며 불안정하다는 점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세계의 다양한 지역과 국가들을 보다 역동적이고 다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본 연구는 한반도 중심의 분단 담론과 냉전적 스케일에 의해 제한되어 온 기존의 지리 인식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고, 이를 넘어서는 세계시민적 시각을 함양하는 교육적 가능성을 조명한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세계시민과 지리」가 제공하는 지정학적 지식이 한반도 지정학 담론에 의해 형성된 분단과 냉전체제의 공간적 스케일에 국한되지 않고, 이를 넘어설 수 있는 역동성을 지닌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공간의 정치·지리적 맥락을 확장적으로 이해하고, 복잡한 국제 정세 속에서 종합적 추론과 현실적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지리 교수학습 전략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비판지정학의 적용이 학생들의 지리적 상상력, 비판적 세계시민성을 함양하고, 학교 지리의 교육적 지평을 넓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Transformative Directions in Geography Education through Critical Geopolitics: Focusing on Global Citizenship and Geography
-
Research Article
-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in Japanese Upper Secondary Schools through the Case Study of the “Geography” Lesson: Focusing on the Unit ‘Sustainable Community Development and Us’
수업을 통해 본 일본 고교 필수과목 「지리종합」에서의 방재교육 사례연구: 대단원 ‘지속가능한 지역 만들기와 우리들’을 중심으로
-
Ja Yeon Yang
양자연
-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within the “Geography” course, a required compulsory subject in Japanese upper …
본 연구에서는 일본 고등학교 「지리종합」에서 방재관련 단원의 수업 실천 분석을 통해, 일본 고교 지리과목에서의 방재 교육의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8년 …
-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within the “Geography” course, a required compulsory subject in Japanese upper secondary schools, by analysing the teaching practices of a disaster-related unit. The course, established under the 2018 Course of Study, includes disaster prevention as one of its three core content areas. To achieve this study’s aims, we employed a three-step methodology.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ntent of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at the national curriculum level. Second, data on teaching practices were gather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 an upper secondary school classroom,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student worksheets. Third, our findings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classroom observation were synthesised to identify the key characteristics of disaster prevention learning in “Geography”. As a result, the lessons observed in this study showed that disaster prevention learning encouraged students to consider community-level planning in their daily lives, taking into account both “HAZADO (hazard)” and “RISUKU (risk)”. The lessons were also designed to be geographically unique, incorporating activities such as fieldwork and map-based analysis. This education was implemented as a component of geograph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 COLLAPSE
본 연구에서는 일본 고등학교 「지리종합」에서 방재관련 단원의 수업 실천 분석을 통해, 일본 고교 지리과목에서의 방재 교육의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8년 고시된 학습지도요령에 따라 신설된 고교 필수과목 「지리종합」은 3개의 큰 틀의 내용 중 하나로 방재를 다룬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국가교육과정 수준에서의 고교 지리종합의 방재교육에 대해서 문헌 연구를 통해 검토하였다. 둘째, 실제 고교 「지리종합」의 방재교육 단원의 수업 실천에 대해서 수업 참여관찰과 실천자(교사)에 대한 인터뷰 조사 및 학습자의 학습지를 수집하여 조사하였다. 셋째, 문헌연구 및 수업 참여관찰의 결과를 분석하여 고교 「지리종합」에서의 방재학습의 특징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이 된 수업에서는 학습자의 생활권 속에서 ‘해저드’와 ‘리스크’를 고려한 지역 만들기를 생각하는 방재학습, 지리에서만 가능한 방재 수업 설계, 지속가능성 및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리교육에서의 방재교육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in Japanese Upper Secondary Schools through the Case Study of the “Geography” Lesson: Focusing on the Unit ‘Sustainable Community Development and Us’
-
Research Article
-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Geography Class Using Simulation Games: Focusing on the Simulation Game “The Gerious”
시뮬레이션 게임을 활용한 지리수업의 효과분석: 시뮬레이션 게임 ‘더 지리어스’를 중심으로
-
You-ra Jung · Chul-Ki Cho · Yunmi Lee
정유라 · 조철기 · 이윤미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imulation game applicable to geography education, implement it in actual classes, and analyze its effectiveness. Following …
이 연구는 지리과에 적용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한 뒤, 그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Malcolm(1976)이 제시한 시뮬레이션 …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imulation game applicable to geography education, implement it in actual classes, and analyze its effectiveness. Following the simulation game development stages proposed by Malcolm (1976), a game titled The Geo-Rious was designed. The game was based on real international situations and incorporated the environmental issue of global warming. To examine whether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se situations improved,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and the changes were analyzed. In addition,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assess students’ interest and level of engagement in The Geo-Rious. Furthermor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plore students’ perceptions and insights gained through their participation. These qualitative findings were used to analyze the expressive outcomes of the simulation game.
- COLLAPSE
이 연구는 지리과에 적용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한 뒤, 그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Malcolm(1976)이 제시한 시뮬레이션 게임 제작 단계에 따라 시뮬레이션 게임 ‘더 지리어스’를 개발하였다. 시뮬레이션 게임 ‘더 지리어스’는 실제의 국제 정세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지구온난화라는 환경문제도 포함되어 있다. 시뮬레이션 게임 ‘더 지리어스’에 참여한 학생들의 상황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는지에 대해 사전평가와 사후평가를 하여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게임 ‘더 지리어스’에 대해 흥미를 느끼고 몰입하여 참여하였는지를 설문조사를 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추가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학생들이 시뮬레이션 게임 ‘더 지리어스’에서 어떤 점을 느끼고 깨달았는지를 분석해 시뮬레이션 게임 ‘더 지리어스’의 표현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Geography Class Using Simulation Games: Focusing on the Simulation Game “The Gerious”
-
Research Article
-
Detection of Medium-Term Sedimentary Environment Changes in Coastal Dunes Using DEM: A Case Study of the Sinduri Coastal Dunes
DEM을 활용한 해안사구 중단기 퇴적환경 변화 탐지: 신두리 해안사구를 중심으로
-
Geun-Bi Jeong · Jong-Cheol Seo · Dong-Ho Jang
정근비 · 서종철 · 장동호
- This study quantitatively assessed the geomorphic changes of the Sinduri coastal dune system between 1999 and 2023 using cross-sectional analysis based on …
본 연구는 1999년과 2023년 사이의 신두리 해안사구 지형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DEM 기반 지형단면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해빈, 전사구, 후사구를 포함한 …
- This study quantitatively assessed the geomorphic changes of the Sinduri coastal dune system between 1999 and 2023 using cross-sectional analysis based on Digital Elevation Models (DEM). A total of nine cross-sections were analyzed across the beach, foredune, and backdune zones, revealing distinct spatial patterns of erosion and deposition across different sections. In sections A–D, beach erosion and foredune deposition were dominant, while sections E–H showed strong depositional trends in both zones. The backdune exhibited mixed erosion and deposition in sections A–D, and overall retreat in E–H, although localized elevation gains were also observed. These changes are interpreted as the combined effects of artificial structures and dune restoration efforts. This study highlights the value of long-term DEM-based monitoring for coastal dune management and emphasizes the need for integrated strategies that consider both natural processes and human-induced impacts.
- COLLAPSE
본 연구는 1999년과 2023년 사이의 신두리 해안사구 지형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DEM 기반 지형단면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해빈, 전사구, 후사구를 포함한 총 9개의 단면선을 분석한 결과, 구간별로 뚜렷한 침·퇴적의 환경 변화가 나타났다. A~D 구간은 해빈 침식과 전사구 퇴적이, E~H 구간은 두 지형 모두에서 강한 퇴적 경향이 확인되었다. 후사구는 A~D 구간에서 침식과 퇴적이 혼재되었고, E~H 구간에서는 전반적으로 후퇴하였으나 일부 고도 상승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인공 구조물 설치, 사구 복원 정책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해안사구 관리를 위한 DEM 기반 장기 모니터링의 가치와,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영향을 함께 고려하는 통합 전략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
Detection of Medium-Term Sedimentary Environment Changes in Coastal Dunes Using DEM: A Case Study of the Sinduri Coastal Dunes
-
Research Article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Funeral Songs in Gyeonggi-do: Focusing on Unsang-Sori
경기도 상부소리의 특징과 공간 분포에 관한 연구: 운상소리를 중심으로
-
A-In Kim · Dong-Ho Jang
김아인 · 장동호
-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uneral songs transmitted in the Gyeonggi-do region and, through this, analyzes the cultural-geographic characteristics …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에서 전승된 상부소리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상부소리의 문화지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대표적인 ‘운상소리’중 ‘한마디 입말 류’, …
-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uneral songs transmitted in the Gyeonggi-do region and, through this, analyzes the cultural-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Funeral songs. Specifically,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ve ‘Unsang-sori’ types, including ‘One-phrase spoken word type’, ‘Two-phrase overlapping type’, and ‘Non-overlapping Eoyina-gal-kka type’, were analyzed using GIS-based kernel density analysis. Research results show that by type, the ‘one-phrase spoken language type’ was concentrated in the northern inland and southwestern plains, the ‘two-phrase or more spoken language type’ in the northern border regions and southern gentle slopes and foothills, and the ‘non-phrase spoken language type’ in the southeastern and Chungcheong border regions. These type-specific differences are believed to be closely related to a complex interplay of factors such as terrain, livelihood, burial culture, and networks of exchange with neighboring cultural regions. This study shows that the distribution and spread of local folk songs are formed not just by differences in musical style, but within the context of the local environment and cultural background. This study is expected to expand the possibilities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cultural geography, folklore, and musicolog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trategies for th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local folk songs.
- COLLAPSE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에서 전승된 상부소리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상부소리의 문화지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대표적인 ‘운상소리’중 ‘한마디 입말 류’, ‘두마디 넘차 류’, ‘비(非)넘차 어이나갈까 류’를 대상으로 GIS 기반의 커널 밀도 분석을 통해 공간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마디 입말 류’가 북부 내륙과 서남부 평야지대, ‘두마디 넘차 류’가 북부 접경과 남부 완경사지·산록부, ‘비넘차 어이나갈까 류’가 남동부 및 충청도 접경지역에 밀집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유형별 차이는 지형, 생활 기반, 장례문화, 인접 문화권과의 교류망 등 복합적 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향토민요의 분포와 전파가 단순한 음악적 양식의 차이를 넘어 지역 환경과 문화적 맥락 속에서 형성된다는 점을 밝혔다. 이를 통해 문화지리학·민속학·음악학 간의 학제적 연구 가능성을 확장하고, 향토민요 보존 및 전승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Funeral Songs in Gyeonggi-do: Focusing on Unsang-Sori
-
Research Article
-
A Critical Re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Geographical Significance of the Gongsan Battle Site: Focusing on the Battle Location
공산전투 장소의 역사지리적 의미에 대한 비판적 재해석: 전투장소를 중심으로
-
Un Gun Song
송언근
-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hich aims to critically reinterpret the historical-geographical significance of the battle sites of the Gongsan Battle, …
공산전투의 전투장소를 대상으로 그것의 역사지리적 의미를 비판적으로 재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산전투의 주요 전투장소는 동수가 아니라 …
-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hich aims to critically reinterpret the historical-geographical significance of the battle sites of the Gongsan Battle, are as follows. The key battle site of the Gongsan Battle was likely not Dongsu but Mirisa. Mirisa is presumed to have been located near the Sin Sung gyeom relic site, where the Donghwa Stream gorge comes to an end, and it appears that Jimyosa was founded in the vicinity after the battle. Dongsu, rather than being a true battlefield, seems to have been a place where the Goryeo and Later Baekje forces briefly encountered each other before the Mirisa battle. The battle near Eunhaesa, which is said to have given rise to the place name Taejoji, may not be a historical fact. Jeontan and Bokhyeondong may have been places where retreating Goryeo forces, after their defeat at Mirisa, fought localized skirmishes with Later Baekje troops. Thus, the Gongsan Battle was not a series of continuous engagements dispersed across Taejoji, Dongsu, Mirisa, and Jeontan, but rather a concentrated battle centered on Miri-sa.
- COLLAPSE
공산전투의 전투장소를 대상으로 그것의 역사지리적 의미를 비판적으로 재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산전투의 주요 전투장소는 동수가 아니라 미리사일 가능성이 높다. 미리사는 동화천 협곡이 끝나는 신숭겸 유적지 근처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전투 후 그 주변에 지묘사가 창건된 것으로 보인다. 동수는 전투장소가 아니라, 미리사 전투 전에 고려군과 후백제군이 일시적으로 조우한 곳으로 보인다. 태조지의 지명 유래가 된 은해사 부근의 전투는 사실이 아닐 수 있다. 전탄과 복현동은 미리사에서 패배한 고려군의 일부가 도주 중에 후백제군과 국지적 전투를 벌인 장소일 가능성이 있다. 공산전투는 태조지, 동수, 미리사, 전탄 등 여러 곳에서 벌어진 연속적 전투가 아니라, 미리사를 중심으로 한 집중적 전투였을 가능성이 높다.
-
A Critical Re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Geographical Significance of the Gongsan Battle Site: Focusing on the Battle Location
-
Research Article
-
Presumptive on Location of the Gyeonhwon Castle and Palace with Central Area Change in Jeonju
전주의 중심지 변화와 견훤도성 및 궁성의 위치 추정
-
Sungwook Cho
조성욱
- The change of the central area of the Jeonju and existing studies on the presumptive of the location of Gyeonhwon Castle and …
전주 지역의 중심지 변화와 후백제 시대에 축조되었던 견훤도성의 위치와 궁성의 위치 추정에 관한 기존 연구를 재검토했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은, 첫째, 역사적으로 …
- The change of the central area of the Jeonju and existing studies on the presumptive of the location of Gyeonhwon Castle and Palace built during the Later Baekje period were reviewed. This study revealed as follows, First, historically, the central area in the Jeonju region is presumed to have changed as the hilly area in Nosong-dong during the Three Kingdoms (Baekje) and Later-Baekje periods, and flat area in Jeonju-walled town area after the Unified-Silla and Goryeo periods. Second, Gyeonhwon Castle is presumed to be a city that combines the valleys of Kirin-Peak and Seungam-Mountain with the hilly areas of Nosong-dong. The interior topographical condition of the castle was east high-west low and south high-north low, and the river flows from the south and east to the west and north. It is estimated that the southeast and north are bordered by mountainous areas, and the west was built with a wall using Nosong-stream as a moat. Third, the location of Place within Gyeonhwon Castle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Jeonju Cheonbu Church area, a location where you can see the city in the southwest direction, high planation surface with a relatively high altitude.
- COLLAPSE
전주 지역의 중심지 변화와 후백제 시대에 축조되었던 견훤도성의 위치와 궁성의 위치 추정에 관한 기존 연구를 재검토했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은, 첫째, 역사적으로 전주 지역에서의 중심 지역은 삼국(백제)시대와 후백제 시대에는 노송동의 구릉 지역,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 이후에는 평탄지인 전주읍성 지역으로 구릉 지역과 평탄지를 교체하면서 중심지의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견훤도성은 기린봉과 승암산 계곡과 노송동의 구릉 지역을 포함하는 산지와 평지를 혼합한 도성으로 추정되며, 성 내부는 동고서저, 남고북저형이었으며, 하천은 남쪽과 동쪽에서 서쪽과 북쪽으로 흐른다. 동남북은 산지로 경계를 이루고, 서쪽은 노송천을 해자로 이용하는 성벽이 축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견훤성 내의 궁성의 위치로는 상대적으로 해발고도가 높아 시가지에서 위로 보이고, 고위평탄지가 존재하며, 궁성에서는 남서방향으로 시가지를 조망할 수 있는 위치인 전주 천부교회 일대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
Presumptive on Location of the Gyeonhwon Castle and Palace with Central Area Change in Jeonju
-
Research Article
-
Analysis of Factors Determining Heatwave Avoidance Intentions Among Rural Elderly: A Case Study of Dangjin, Chungcheongnam-do
농촌 고령자의 폭염회피행동의도 결정요인 분석: 충청남도 당진시를 사례로
-
Yeon-yeop Lim · Yeji Kang · Jongchul Park
임연엽 · 강예지 · 박종철
- Individual risk-taking behaviors play a key role in reducing heatwave-related health damage. This study applied the Health Belief Model (perceived severity, susceptibility, …
개인의 위험대처행동은 폭염으로 인한 건강 피해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이익, 지각된 장애)을 적용하여 …
- Individual risk-taking behaviors play a key role in reducing heatwave-related health damage. This study applied the Health Belief Model (perceived severity, susceptibility, benefits, and barriers) to examin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lief factors influencing heatwave avoidance intentions among the rural elderly in Korea. Avoidance intentions were categorized into high- and low-acceptability behaviors. Data were collected via a survey of 194 individuals aged 65 or older in rural areas of Dangjin-si, Chungcheongnam-do. Analyse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beliefs and avoidance intentions by age, household type, income, hospital visits, chronic diseases, and use of heat shelters. Perceived benefits were closely related to high-acceptability behaviors, while perceived severity and susceptibility were most relevant for low-acceptability behaviors.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at perceived benefits primarily influenced high-acceptability intentions, whereas age and perceived severity shaped low-acceptability intention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lexity of heatwave avoidance behavior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eatwave response policies, particularly in risk communication, by supporting the formation of social networks among the elderly and tailor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behavioral acceptability.
- COLLAPSE
개인의 위험대처행동은 폭염으로 인한 건강 피해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이익, 지각된 장애)을 적용하여 농촌 고령자의 폭염회피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과 건강신념 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폭염회피행동의도를 고수용성 행동과 저수용성 행동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자료는 충청남도 당진시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고령인구 194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Pearson 상관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건강신념변인 및 폭염회피행동의도는 연령, 가구형태, 소득, 병원경험, 기저질환보유, 무더위쉼터 이용횟수 등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고수용성 폭염회피행동의도는 지각된 이익이, 저수용성 폭염회피행동의도는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민감성이 가장 중요한 상관변수로 작용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고수용성 폭염회피행동의도는 지각된 이익에 의해 유도되며, 저수용성 폭염회피행동의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낮아지고 지각된 심각성에 의해 유도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폭염회피행동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고령층의 사회관계망 형성, 행동의 수용성 수준에 따른 폭염 대응 정책 수립, 특히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Analysis of Factors Determining Heatwave Avoidance Intentions Among Rural Elderly: A Case Study of Dangjin, Chungcheongnam-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