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Abstract
References
Information
From a cognitive structural viewpoint, learners are not passive but active knowledge constructors with different background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se individual cognitive structural mechanisms is misconceptions, so this study analyzed the causes of geographic misconceptions by looking at learners’ concept forming process and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s to promote significant conceptual change. To this en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derive keywords (associative concepts) composing geographic misconceptions, to identify strong concepts and link concepts that played a large part in the concept formation, and to visualize the learner’s cognitive structure by expressing a semantic network. There are thre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causes of misconceptions have the nature of the process rather than result. Second, correct concepts can also affect the formation of new misconceptions. Third, cognitive structural approaches can help teachers modify learners’ geographic misconceptions and predict misconceptions that may be formed in the future.
인지구조적인 관점에서 학습자는 동일한 조건을 지닌 수동적인 정보의 수용자가 아니라,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능동적 지식의 구성자이다. 이러한 개별적인 인지구조적 메커니즘의 대표적인 결과물은 오개념이기에, 본 연구는 학습자가 가진 지리 오개념의 형성 과정을 인지구조적인 관점에서 조망함으로써 학습자, 교과서, 교실 안팎의 환경 등 오개념의 형성 원인을 다각적인 차원에서 분석하고 유의미한 개념변화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언어 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지리 오개념을 구성하는 키워드(연상 개념)를 도출하고, 개념 형성 과정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 강력한 개념과 연결고리 개념을 정리한 후, 개념 간 의미론적 연결망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낸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오개념에 대한 형성 원인은 결과론적인 유형화가 어렵다. 둘째, 오류가 없는 지리 개념도 새로운 오개념을 형성하는 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셋째, 인지구조적인 접근 방법은 기존의 지리 오개념을 수정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 형성될 수 있는 다른 오개념을 예측하는 등 학습자의 관점에서 지리 개념 학습 과정을 이해하고 보다 효과적인 지리 교수・학습 과정을 도모할 수 있다.
- 강창숙, 2002, “지리개념 발달과 상보적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교육부, 2015,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7].
- 권재술・이경호・김연수, 2003,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의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74-591.10.1080/0144341032000123813
- 김미희, 2018, “식물의 영양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과서와 중학생의 개념 관계망 비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민성, 2013, “교사들이 인지하는 고등학생들의 한국지리 오개념,” 대한지리학회지 48(3), 482-496.
- 김민성, 2014, “지리 오개념 형성 메커니즘,” 대한지리학회지, 49(4), 601-614.10.1007/s11012-013-9815-7
- 김민성, 2015, “지리 오개념 극복을 위한 인지갈등 전략의 이해와 적용,” 한국지리학회지, 4(1), 1-13.10.25202/JAKG.4.1.1
- 김영래, 2022,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리아 해안에 대한 오개념,”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30(3), 21-32.
- 김영조, 2002, “인구지리분야에 대한 고등학생의 오개념,”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용학, 2015, “한국 대중가요의 의미 연결망,” 대중서사연구, 21(1), 145-171.
- 김용학・김영진, 2003, 「사회 연결망 분석」, 서울: 박영사.
- 김점옥, 2002, “지리개념 분류에 따른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오개념(誤槪念)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진국, 1998, “지리교육에서의 오개념(misconception)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진국・김일기, 1998, “지리 교사들이 제시한 고등학생들의 오개념(misconception)유형,”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5, 169-198.
- 박경진・정덕호・조규성, 2013,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야외지질학습 전후의 퇴적암에 대한 개념 구조 변화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4(2), 173-186.10.5467/JKESS.2013.34.2.173
- 박인우, 2006, “개념학습을 위한 개념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탐색,” 교육공학연구, 22(3), 117-137.10.17232/KSET.22.3.117
- 박지수, 2022, “기후변화교육에서의 오개념 극복을 위한 지리적 사고의 역할,”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30(2), 87-103.
- 박창민・조재성, 2015, 실행연구, 「질적연구: 열다섯가지 접근」,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 박한우・Leydesdorff, 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 박현주, 1999, “개념변화이론의 강화: 개념생태,” 홀리스틱교육실천연구, 3(2), 177-187.10.1023/A:1005183911985
- 박형용, 2016, “개념 관계망 분석을 통한 2009 개정 과학과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생명 영역의 핵심 주제 및 연계성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10.15717/bioedu.2017.45.1.177
- 서태열, 2005, 「지리교육학의 이해」, 파주: 한울아카데미.
- 서태열, 2011, “스키머 이론에 따른 중학생의 지리학습에 대한 설명: 지역관련 내용을 사례로,” 사회과교육, 50(4), 229-241.
- 송종숙, 2017, “개념변화 연구 동향(1984-2016): 연구 현황 분석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소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3), 1-27.
- 신현정, 2000, 「개념과 범주화」, 서울: 아카넷.
- 이경한, 2002, “지리교육에서의 개념학습의 연구경향과 개념분류 논의,” 초등사회과교육논총, 3, 91-104.
- 이경한・박선희, 2002, “초등학생들의 지리 오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1(4), 153-181.
- 이동민, 2016, “2015 개정 고등학교 여행지리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의미구조 분석,” 한국지리학회지, 5(1), 1-11.10.25202/JAKG.5.1.1
- 이동민, 2017, “세계 지리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한국지리학회지, 6(3), 355-368.10.25202/JAKG.6.3.4
- 이동민・고아라, 2015, “중등 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교육, 54(3), 1-19.
- 이수상, 2014,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1(4), 49-68.10.3743/KOSIM.2014.31.4.049
- 이유나・김춘화・이상수, 2016, “‘교육공동체’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교육종합연구, 14(2), 153-185.
- 이홍우, 2015, 「인지학습의 이론」, 파주: 교육과학사.
- 임은진, 2009, “상황인지론에 근거한 지리교육의 재개념화,”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7(2), 145-162.10.17279/jkagee.2009.17.2.145
- 정덕호・이철민, 2022,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지구과학교사들의 변성암에 대한 개념 구조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43(6), 762-776.
- 정선재, 2019, “초등사회과 지리 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오개념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예은, 2010, “지형단원에서 나타나는 고등학생들의 지리 오개념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영님, 2003, “초등학교 지리교육에서의 오개념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한동균, 2014, “스키마 이론에 따른 지리적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허인숙, 2001, “개념도(concept map)를 통한 오개념에 관한 연구 - 사회과 ‘분배’ 개념을 중심으로 -,” 교육심리연구, 12(3), 375-397.
- Alexander, P.A., 1996, The past, the present and future of knowledge research: A reexamination of the role of knowledge in learning and instruc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31(2), 89-92.10.1080/00461520.1996.10524941
- Bonacich, P., 1987, “Power and centrality : A family of measur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2, 1170-1182.10.1086/228631
- Doerfel, M.L. and Barnett, G.A., 1999,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interac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5, 589-603.10.1111/j.1468-2958.1999.tb00463.x
- Dove, J., 2016, Reasons for misconceptions in physical geography, Geography, 101(1), 47-53.10.1080/00167487.2016.12093983
- Drieger, P., 2013,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method for visual text analytic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79, 4-17.10.1016/j.sbspro.2013.05.053
- Howard, R.W., 1987, Concepts and Schemata: An Introduction, London: Cassell.
- Jang, H. and Barnett, G.A., 1994, Cultural differenc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 semantic network analysis, Bulletinde Metholodogies Sociologique, 44, 31-59.10.1177/075910639404400104
- Lee, S., Kim, J-H., and Rosen, D., 2009, A semantic network and categorical content analysis of internet and online media research, The Open Communication Journal, 3, 15-28.10.2174/1874916X00903010015
- Novak, J.D. and Gowin, D.B., 1984, Learning How to Lear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10.1017/CBO9781139173469
- Ozturk, M. and Alkis, S., 2010, misconceptions in geography, Geographical Education, 23, 54-63.
- Posner, G.J., Strike, K.A., Hewson, P.W., and Gertzog, W.A., 1982, Accommodation of a scientific conception: Toward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Science Education, 66(2), 211-227.10.1002/sce.3730660207
- Ruhnau, B., 2000, Eigenvector-centrality - a node-centrality?, Social networks, 22(4), 357-365.10.1016/S0378-8733(00)00031-9
- Strike, K.A. and Posner, G.J., 1992, In Philosophy of science, cognitive psychology, and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in Duschl, R.A. and Hamilton, R.J., eds.,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Torney-Purta, J., 1991, Schema theory and cognitive psychology: Implications for social studies, Theory &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19(2), 189-210.10.1080/00933104.1991.10505636
- Tyler, A. and Evans, V., 2003, The semantics of English prepositions - Spatial scenes, embodied meaning and cogni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10.1017/CBO9780511486517
- Publisher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 Publisher(Ko) :한국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학회지
- Volume : 13
- No :2
- Pages :149~164
- DOI :https://doi.org/10.25202/JAKG.1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