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Abstract
References
Information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assess the defensive capabilities of the ancient fortress, Gongsanseong, from a visibility perspective using GIS analysis and terrain analysis. The study focuses on three locations within Gongsanseong fortress (Gongsanjeong, Gwangbokru, and presumed palace sit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From Gongsanjeong, the straight-line distance to the maximum visible point is 4 km, with a travel time of 60 minutes. From Gwangbokru, the straight-line distance to the maximum visible distance is 3.9 km, with a travel time of 57 minutes. Finally, from the presumed palace site, the straight-line distance to the maximum visible distance is approximately 2.9 km, with a travel time of about 43 minutes.2. Two main enemy routes (A and B) for attacking Gongsan fortress were identified. The earliest detection of enemy movements towards the fortress occurs within 90 and 65 minutes before reaching the Gongsanseong fortress for routes A and B, respectively. 3. Considering the maximum effective shooting range of traditional Korean archery, the most advantageous northern defense point from the castle is near Geumgang River, which presents a challenging terrain for enemy movement. Therefore, Gongsanseong fortress would have been highly advantageous for defending the northern side. This study could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future research on the defensive functions of similar historical sites.
본 연구에서는 관방유적인 공산성을 대상으로 최초로 지형학적 측면에서 GIS분석을 이용하여 공산성의 방어기능을 정량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산성 내 3개 지점(공산정, 광복루, 추정왕궁지)을 대상으로 가시권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공산정에서 최장가시지점의 직선거리는 4km이며, 이동시간은 60분이다. 광복루에서 최장가시지점의 직선거리는 3.9km이며, 이동시간은 57분이다. 그리고 추정왕궁지에서 최장가시지점의 직선거리는 약 2.9km이며, 이동시간은 약 43분이다. ② 공산성을 공격하는 적의 이동경로는 크게 2개(이동경로 A, B)로 확인되었다. 이동경로 A와 이동경로 B에서 공산성으로 진입하는 적의 동태를 최초로 식별되는 데에는 각각 공산성 도달 90분과 65분 이전인 것으로 밝혀졌다. ③ 국궁의 최대 유효사정거리를 고려하면, 공산성에서 북쪽 방어에 유리한 최장지점은 금강 하도 부근이며 이와 같은 지형은 적군이 이동하기에 상대적으로 어려운 환경이다. 따라서 공산성은 북쪽을 방어하기에 매우 유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향후 유사한 관방유적의 방어 기능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공주대학교 박물관, 2009, 「문화유적 분포지도」, 공주시・공주대학교.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022, 「공주삼남길, 백의종군길 관광상품 개발 연구용역 보고서」,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공주시청, 2021, 「공주시지 2021」, 공주시청.
- 국립공주박물관, 2013, 「제59회 백제문화제 기념 가을 특별전시, 공산성 공주 역사기행 1번지」, 국립공주박물관.
- 길승호・양병이, 2013, “영양 서석지원 (瑞石池園) 의 경관요소를 통한 외원 규모 추정및 프랙탈 구조 (Fractal Structure),” 한국조경학회지, 41(5), 57-67.10.9715/KILA.2013.41.5.057
- 김성태, 2017, “삼각산 중흥산성에 대한 역사고고학적 고찰,” 서울과역사, 17, 205-247.
- 김호준, 2010, “관방유적 조사방법론-산성 성벽을 중심으로-,” 중부고고학회지, 10(1), 113-145.
- 박지훈, 2012, 「공주지역에 있어서 옛 유적의 입지유형과 입지요인」, 한국연구재단.
- 양시은, 2020, “해남지역 관방유적의 역사적 의미와 활용방안,” 호남고고학회지, 66, 82-109.10.55473/JHAS.2020.66.82
- 유재춘, 2013, “인제 한계산성의 역사와 유적에 대한 연구한글로보기,” 한국성곽확보, 23, 32-73.
- 윤성호, 2023, “한강유역 고대 관방유적 조사,연구 현황,” 한국고대학회지, (71), 33-58.
- 이준성, 2021, “군사시설 소재 고대 관방유적의 관리,활용 방안-임진강,한탄강 유역을 중심으로-,” 고조선단군학, 45, 211-236.10.18706/jgds.2021.8.45.211
- 이판섭, 2006, “三國時代 山城의 監視半徑에 대하여,” 호서고고학회지, 0(15), 61-80.
- 정재성, 2011, “전통시대 활쏘기 문화의 특성 소고,” 무예연구, 5(1), 71-89.
- 정해준, 2000, “예산지역 백제산성의 특징 -고고학적 특징과 지방통치를 중심으로-,” 23, 32-73.
- 공주시 문화 관광홈페이지, http://www.gongju.go.kr/tour
-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정보플랫폼, https://www.ngii.go.kr
- 네이버 지도, https://map.naver.com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
- 카카오 맵, https://maps.kakao.com
- Publisher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 Publisher(Ko) :한국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학회지
- Volume : 13
- No :2
- Pages :165~172
- DOI :https://doi.org/10.25202/JAKG.1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