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4 Vol.13, Issue 3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0 September 2024. pp. 299~315
Abstract
In 2023, the government enacted the “Act on the Restructuring and Regeneration Support of Rural Spaces” to manage rural spaces efficiently. This law outlines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plans for rural space management and designates various implementing bodies. However, since implementing bodies already exist under the existing Rural Agreement System, confusion has arisen among field practitioner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implementation systems of the existing Rural Agreement System and the Rural Space Restructuring Act. As a result, it proposes the integration of overlapping implementing bodies into those designated by the law and suggests new participation methods for residents. Additionally, the study emphasizes the role of regional governments in establishing and operating effective plans for local governments. It is expected that the new implementation system proposed through this research will help the Rural Space Restructuring Act be smoothly established in practice.
정부는 2023년 농촌공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해당 법령은 농촌공간 관리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도록 제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추진주체를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농촌협약제도에서도 추진주체가 존재하기에 현장 업무담당자들의 혼란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시행되고 있는 농촌협약제도의 추진체계와 농촌공간재구조화법에서 제시한 추진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결과적으로 법령과 제도 내 중복되는 추진주체는 법령에서 제시하는 추진 주체로 통합하고, 주민의 신규 참여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초지자체의 효율적인 계획수립 및 운영을 위해 광역지자체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연구를 통해 제시한 새로운 추진체계 안을 통해 농촌공간재구조화법이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ferences
  1. 고경호, 2021, “농촌 마을만들기 거버넌스의 활성화를 위한 주요 쟁점 및 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충남 지역 내 민간위탁형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 설치 지역을 사례로,” 한국유기농업학회지, 29(1), 51-73.
  2. 고진영・김명일・양민호・김지용・김기성, 2017, “농촌주민의 역량이 농촌개발의 참여확대에 미치는 영향분석,” 농업공학회지, 60(1), 37-45.
  3. 구자인, 2021,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의 현재와 미래,” 제5회 충남마을만들기 대화마당 발표자료.
  4. 김강섭・이상정, 2004, “농촌지역 개발정책의 변천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농촌건축, 6(18), 25-38.
  5. 김기태, 2019, “중간지원조직 활성화 방안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협동조합네트워크, 76, 157-171.
  6. 김두순・권지윤・배성의, 2020,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근거이론 연구방법의 적용-,” 한국자치행정학보, 34(1), 91-120.
  7. 김병환・정규호・염태영・민현정・김규환・홍성운・윤세홍・김수진, 2004,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위한 환경거버넌스 구축방안」, 환경부.
  8. 김상범・엄성준・안필균・정명철・도지윤・송미정, 2022, “경상지역 농촌협약 특징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계층구조, 생활권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24(4), 67-75. 10.14577/kirua.2022.24.4.67
  9. 김정섭・마상진・권인혜, 2009, 「농촌개발사업 참여 주체의 역량강화 방안」,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0. 농림축산식품부, 2021,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시행지침서」,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11. 농림축산식품부, 2022, 「농촌공간 전략계획 가이드라인」,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12. 마상진・권인혜, 2014, 「지방 농정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 박덕병・임광명・안재문, 2018, “농촌지역주민 공동체의식의 지역사회참여 영향요인 -거주기간의 조절효과-,” 농촌지도와 개발, 25(3), 135-148. 10.20878/cshr.2019.25.1.015
  14. 사득환・최일문, 2023, “로컬 거버넌스의 성공요인과 성과: 양양군 마을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7(1), 301-325.
  15. 서재호, 2013, “주민자치 활동 참여와 공동체의식: 부산광역시 4개 동 주민자치센터 주민의 의식조사를 토대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4(2), 437-459.
  16. 성주인・심재헌・한이철, 2024, “농촌공간재구조화법 시행과 향후 과제,” KREI농정포커스, 1-18.
  17. 성중탁, 2023, “우리나라 농・어촌 정비 및 재생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농어촌공간계획을 중심으로-,” 법학논고, 81, 27-58.
  18. 성창훈, 2022, “인구감소,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나라경제, 382, 60-61.
  19. 송미령・박주영, 2004, 「농촌 지역개발사업의 체계화 방안」,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 유학열・조소진, 2023, 「충남 농촌지역 활성화를 위한 관계인구 창출 및 활용 전략」, 충남: 충남연구원.
  21. 윤정미, 2024, “지방소멸지수와의 비교 연구를 통한 마을소멸지수의 적용 가능성 검토 연구,” 농촌계획, 30(1), 1-33. 10.7851/ksrp.2024.30.1.001
  22. 이상호, 2016, “한국의 지방소멸에 관한 7가지 분석,” 지역 고용동향 브리프, 3-17.
  23. 이성재・장성화・한국환, 2022, 「지치분권 대응 농촌협약 추진방안 연구」, 전북: 전북연구원.
  24. 이영아, 2021, “현장 중심적 농촌 지역개발사업에 관한 연구: 경북 예천군 신활력플러스사업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7(2), 230-246. 10.26863/JKARG.2021.5.27.2.230
  25. 임광명, 2017, “농촌지역사회 공동체의식 유형별 지역사회활동 참여 특성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4(4), 237-248.
  26. 정기석, 2017, “마을만들기 방법론의 현실적인 문제점과 방안 -농촌공동체 재생을 위한 사회적 자본 개발・활용 전략 중심-,” 한국농촌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57-77.
  27. 정기환・송미령・김태곤, 2005, 「농촌의 내발적 지역활성화에 관한 한・일 비교 연구」,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8. 정선화, 2024, 지방소멸 위기 대응 거버넌스에 대한 고찰: 스웨덴 농촌지역개발정책 거버넌스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와 정치, 11(1), 43-65.
  29. 조소진・정환영, 2017, “역량강화 중심의 마을만들기 참여에 따른 주민인식변화 분석: 충청남도 공주시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1), 89-105. 10.26863/JKARG.2017.02.23.1.89
  30. 조영재・윤정미・한승석・조승현, 2023, “정주계층별 농촌생활서비스 기능정립 및 취약지역 기준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29(4), 13-26. 10.7851/ksrp.2023.29.4.013
  31. 최영완・엄민호・김영주, 2022, “지속 가능한 마을만들기를 위한 추진체계 개선방안 -김해시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28(4), 55-67. 10.7851/ksrp.2022.28.4.055
  32. 최영출, 2002, “거버넌스 이론과 지역발전전략,” 국토, 6-19
  33. 최정신・최윤지・정진이・김현영, 2022, “여성농업인의 공동체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지역농업리더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29(1), 19-31.
  34. 최창석・안국찬・이정우, 2021, “지방농정의 협력적 거버넌스 성공 요인 연구 -전라북도 삼락농정위원회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35(3), 177-200.
  35. 평택시, 2019, 「평택시 중간지원조직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지역개발거버넌스 구축 연구」, 경기: 평택시청
  36. 한승석・정환영, 2022, “농촌 낙후마을 지수 개발 방법론: 충청남도 농촌 마을을 사례지역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 한국지역지리학회학회지, 28(3), 268-284. 10.26863/JKARG.2022.8.28.3.268
  37. 홍성군, 2020, 「농촌공간전략계획」, 충남: 홍성군청.
  38. Chavis, D.M.M. and Wandersman. A., 1990, Sense of community in the urban environment: A catalyst for particip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American Journal of Communit Psychology, 18(1), 55-81. 10.1007/BF00922689
  39. Goodwin, M. and Painter, J., 1996, Local governance, the crises of fordism and the changing geographies of regulation,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phers, 21(4), 635-648. 10.2307/622391
  40. Lasker, R.D., Weiss, E.S., and Miller, R. 2001, Partnership synergy: A practical framework for studying and strengthening the collaborative advantage. The Milbank Quarterly, 79(2), 179-205. 10.1111/1468-0009.00203
  41. Rhodes, R,A,W. 1996, The new governance: Coverning without government, Political Studies, 44(4), 652-667. 10.1111/j.1467-9248.1996.tb01747.x
  42. Ward, N. and McNicholas, K., 1998, Reconfiguring rural development in the UK: Objective 5b and the new rural covernance, Journal of Rural Studies, 14(1), 27-39. 10.1016/S0743-0167(97)00045-4
  43. Zhao, L., Lu, Y., Wang, B., Patric Y.K. and Zhang, L., 2012, Cultivating the sense of beloning and motivating user participation in virtual communities: A social capital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2(6), 574-588. 10.1016/j.ijinfomgt.2012.02.006
  44.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2023년 2월 27일자, “농촌공간계획 제도화의 첫걸음,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 제정”,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35904&topic=&pp=20&datecount=&recommend=&pg=
Information
  • Publisher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 Publisher(Ko) :한국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학회지
  • Volume : 13
  • No :3
  • Pages :299~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