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4 Vol.13, Issue 1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March 2024. pp. 95~112
Abstract
The population decline in local areas has become a problem, coupled with the nationwide population decline trend. The government proposed the Mega Region concept as a solution to overcome the population decline in local areas. This study analyzes the population movement within local Mega Regions in detail.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wo main points. 1)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out-migration of the population from the population-declining areas to the local metropolitan cities is ‘family’. This is different from other regions where ‘job’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2)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ing households, the educational level and age of the head of the household, and the number of children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affect the probability of the household moving.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demand for jobs and education are the driving forces behind the migration of households from the population-declining areas to the local metropolitan cities. Therefore, in order to stop the population decline in local areas,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strategy by carefully analyz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flow and outflow population within the Mega Region, rather than simply applying the existing methods of attracting population such as securing cultural and convenience facilities.
최근 지방 인구감소는 전국 인구의 감소추세와 맞물려 더욱 문제시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여러 광역지자체를 권역으로 묶어 규모의 경제를 도모하는 초광역권 구상을 제시하였으나 지방 초광역권의 인구 이동경향을 심도있게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 초광역권 내 인구 이동을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특징적인 흐름을 보이는 지방광역시로의 이주를 중심으로 이동 가구의 특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악할 수 있다. 1) 인구감소지역에서 지방광역시로 전출한 인구의 전출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가족’이다. ‘직업’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혔던 타 지역과 상이하다. 2) 인구감소지역에서 지방광역시로 전출한 가구의 특성을 살펴보면 가구주의 교육수준과 연령, 그리고 자녀의 수가 통계적으로 가구의 이주 확률을 높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볼 때 직업 수요와 교육 수요가 인구감소지역에서 지방광역시로 전출하는 가구의 동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지방의 인구감소 추이를 막기 위해서는 기존의 정주여건 개선 등의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기 보다 지역 특성과 초광역권 내 유출입 인구의 유형과 특성을 면밀히 분석해 전략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국토교통부, 2021, 「제2차 국가도로망종합계획(2021~2030)」, 세종: 국토교통부.
  2. 국토교통부・한국국토정보공사, 2023, 「2022 도시계획현황」, 세종: 국토교통부, 전주: 한국국토정보공사.
  3. 국토연구원, 2021, 「지역 불평등: 현황과 개선방안」, 세종: 경제・인문사회연구회.
  4. 김구회・김기홍・김재태, 2016, “학군 이주수요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11개 학군을 대상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4), 157-171.
  5. 김상일・박정호, 2022, 「수도권 내 서울 인구 전출입 패턴 및 요인 분석」, 서울: 서울연구원.
  6. 김예지・이영성, 2014, “서울시 초・중・고등학교 학업성과와 아파트 가격 사이의 상호 작용,” 국토계획, 49(6), 51-64.
  7. 김오석・김정민, 2021, “생활권 단위 총부양비 예측에 의한 한국 총부양비의 시・공간 전망 (2020~2050년),” 한국지도학회지, 21(2), 117-128. 10.16879/jkca.2021.21.2.117
  8. 김우영・홍성효, 2020, “고학력 부부의 대도시 집중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21(1), 75-91. 10.29291/kslm.2020.21.2.075
  9. 김정섭・엄진영・유찬희, 2016, 「일자리 없는 농촌, 할 일 많은 농촌」,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0. 김종근, 2020, “도시쇠퇴에 따른 지역발전 정책 방안: 도시관리비용 부담완화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지, 9(1), 147-156. 10.25202/JAKG.9.1.10
  11. 김지윤・김오석, 2021, “초・중・고 학령인구 감소에 의한 학교 통폐합 잠재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7(1), 55-69. 10.26863/JKARG.2021.2.27.1.55
  12. 류나영・신정엽, 2020, “광역도시권의 스프롤 변화 양상: 광역도시권의 설정과 밀도 기반의 인구 및 고용 스프롤 측정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지, 9(2), 395-409. 10.25202/JAKG.9.2.11
  13. 문근식・이현석, 2016, “표본선택이변량 프로빗모형을 이용한 지역내외 주거이동특성분석 - 고령・교육・결혼・직장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환경학회지, 14(2), 135-146.
  14. 문남철, 2010, “대학 졸업자의 지역간 취업이동과 지역발전,” 국토지리학회지, 44(4), 581-593.
  15. 민성희・박정호, 2012, 「고령자 인구이동 실태 및 정책과제」, 세종: 국토연구원. 10.34225/jidc.2012.3.11
  16. 박경현・윤영모・고사론・양예림・조현지, 2022,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지역주도 초광역권 육성 전략, 세종: 국토연구원.
  17. 박샘・최광용, 2016, “위성영상에 탐지된 1980년대 이후 수도권 지역의 도시 팽창,” 한국지리학회지, 5(3), 331-343. 10.25202/JAKG.5.3.9
  18. 박지희, 2018,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한 학령인구의 순이동 추정,” 한국지도학회지, 18(3), 77-90. 10.16879/jkca.2018.18.3.077
  19. 심재헌・김의준, 2012, “대학 졸업자의 지역 간 취업 이동 요인 분석,” 국토연구, 75, 37-51. 10.15793/kspr.2012.75..003
  20. 안문영・추준석, 2017, “전국단위 학력평가 성적 차이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 울산광역시 사례,” 부동산연구, 27(4), 63-76.
  21. 안영훈・강인성・강기홍, 2008, 「지방자치단체 관할구역 경계설정 개선방안 연구」, 강원: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2. 오지영・서원석, 2023, “공간헤도닉모형을 이용한 일반고 교육성취 특성 및 지역 매개효과에 따른 주택가격 영향,” 주택연구, 31(1), 5-24. 10.24957/hsr.2023.31.1.5
  23. 윤정중・최상희・최대식・윤정란・진규남・권오준・송태호, 2021, 「1・2기 신도시 종합평가 연구(I) : 신도시 건설의 영향」, 대전: 토지주택연구원.
  24. 이미선・김영성, 1990, “생애주기에 따른 서울 시민의 주거이동 행태,” 국토지리학회지, 16, 45-60.
  25. 이상일・김현미, 2022, “우리나라 대도시의 연령-특수적 전출입 플로 분석: 2020년 인구이동을 사례로,” 한국지도학회지, 22(2), 1-16. 10.16879/jkca.2022.22.2.001
  26. 이상호, 2020, 「포스트 코로나19와 지역의 기회」, 충북: 한국고용정보원.
  27. 이정록, 2020, “인구과소지역의 인구이동과 인구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전남 고흥군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6(2), 172-184. 10.26863/JKARG.2020.5.26.2.172
  28. 이희연, 2008, 「인구이동 확장모형 개발 및 실증 분석」, 국토연구원.
  29. 이희연・이승민, 2008, “수도권 신도시 개발이 인구이동과 통근통행패턴에 미친 영향,” 대한지리학회지, 43(4), 561-579.
  30. 임석회, 2019, “지방소도시의 인구감소 및 성장과 쇠퇴의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54(3), 365-386.
  31. 정원기・안영진, 2016, “우리나라 한계촌락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3), 515-528.
  32. 정재은・박천규, 2015, “자녀나이가 교육목적 주거이동계획에 미치는 영향 분석: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여,” 부동산연구, 25(2), 35-44.
  33. 조대헌, 2018, “주택가격과 인구이동 간의 연관성에 관한 공간 분석: 수도권의 전세가격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지, 7(3), 449-462. 10.25202/JAKG.7.3.13
  34. 조영민・김석주, 2019, “초등학교 시기의 이사 및 전학 경험이 주관적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71, 77-98. 10.15300/jcw.2019.71.4.77
  35. 지방시대위원회, 2023,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 세종: 지방시대위원회.
  36. 지상훈, 2020, “코로나19 이후 지역별 고용 변화,” 노동리뷰, 2020(9), 65-68.
  37. 최민정・백일순, 2023, “영토적 덫에 걸린 지방소멸: 행정구역 중심의 인구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토지리학회지, 57(2), 141-163. 10.22905/kaopqj.2023.57.2.4
  38. 최열・김영민・조승호, 2010,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지, 30(3D), 313-321.
  39. 최예술, 2022, 「인구감소지역의 인구변화 실태와 유출인구 특성 분석」, 세종: 국토연구원.
  40. 최충, 2018, “대졸자의 두 번째 직장 이행에서 지역이동의 임금효과 : 수도권-비수도권 간 지역이동을 중심으로,” 노동리뷰, 158, 30-39.
  41. 행정안전부, 2021, 「인구감소지역 지정 고시」(행정안전부 고시 제2021-66호), 세종: 행정안전부.
  42. 행정안전부, 2023, 「주민등록법 시행령」(대통령령 제33880호), 세종: 행정안전부.
  43. 홍성효・유수영, 2012, “세대별 시군구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서울도시연구, 13(1), 1-19.
  44. 황광훈・조용운, 2022, “2020-21년 코로나 시기의 노동시장 동향 및 특징,” 고용동향브리프, 2022(7), 2-23.
  45. Brinkman, J.C., 2015, Big Cities and the Highly Educated: What’s the Connection?, Business Review, 98(3), 11-16.
  46. Britton, J., van der Erve, L., Waltmann, B., and Xu X., 2021, London calling? Higher education, geographical mobility and early-career earnings, Institute for Fiscal Studies, London: IFS.
  47. Chevan, A., 1971, Family growth, household density, and moving, Demography, 8(4), 451-458. 10.2307/20606825164009
  48. Coley, R.L. and Kull, M., 2016, Cumulative, timing-specific, and interactive models of residential mobility and children’s cognitive and psychosocial skills, Child Development, 87(4), 1204-1220. 10.1111/cdev.1253527223111
  49. Comey, J., Litschwartz, S., and Pettit, K.L.S., 2012, Housing and schools: Working together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student mobility, Urban Institute Brief, 26, DC: Urban Institute.
  50. Compton, J. and Pollak, R., 2007, Why are power couples increasingly concentrated in large metropolitan areas?, Journal of Labor Economics, 25(3), 475-512. 10.1086/512706
  51. Eurostat, 2022, Young People in Europe, LU: Eurostat.
  52. Galster, G.C. and Killen, S.P., 1995, The geography of metropolitan opportunity: A reconnaissance and conceptual framework, Housing Policy Debate, 6(1), 7-43. 10.1080/10511482.1995.9521180
  53. Hicks, J.R., 1932, The Theory of Wages, London: McMillan & Co.
  54. Kulu, H. and Steele, F., 2013, Interrelationships between childbearing and housing transitions in the family list course, Demography, 50(5), 1687-1714. 10.1007/s13524-013-0216-223703223
  55. Rossi, P.H., 1955, Why Families Move: A Study in the Social Psychology of Urban Residential Mobility, IL: The Free Press.
  56. Rossi, P.H., 1955, Why family move, NY: The Free Press.
  57. Schwartz, A.E., Stiefel, L., and Cordes, S.A., 2017, Moving matters: The causal effect of moving schools on student performance, Education Finance and Policy, 12(4), 419-446. 10.1162/edfp_a_00198
  58. Tinbergen, J., 1962, Shaping the World Economy: Suggestions for and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NY: The Twentieth Century Fund.
  59.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기본통계,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660&tblId=DT_66001_D000003
  60. 국세청 국세통계포털, https://tasis.nts.go.kr/
  61. 국토교통부 택지정보시스템, https://map.jigu.go.kr/map.do
  62. 중소벤처기업부 창업기업동향,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42&tblId=DT_142N_F204
  63. 통계청, 2019년 1월 8일자, “2015~2017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부문 인구패널데이터 제공 알림”
  64. 통계청, 2021년 12월 9일자, “장래인구추계: 2020~2070년”
  65. 통계청, 2022년 4월 27일자, “2022년 3월 국내인구이동 결과”
  66. 통계청, 2023년 12월 14일자, “장래인구추계: 2022~2072년”
  67. 통계청, 2024년 1월 1일자, “인구감소지역 『생활인구』 시범산정 결과”
  68. 통계청, 2024년 1월 30일자, “2023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
  69.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 마이크로데이터, https://mdis.kostat.go.kr/index.do
  70.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8000G
  71.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040A3
Information
  • Publisher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 Publisher(Ko) :한국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학회지
  • Volume : 13
  • No :1
  • Pages :95~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