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Abstract
References
Inform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types of musical instruments used in the funeral songs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Ulsa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nam-do (abbreviated as Bu-Ul-Gyeong) to classify cultural regions. As a result, a total of three funeral songs were used in the funeral songs of the Bu-Ul-Gyeong region, and a total of four sound culture regions were categorized, including the type of the funeral songs sung without musical instruments. In detail, the northern plains region is mainly distributed along the continuous plains of the Nakdong river and its tributary, the Hwang river basin, a large number of areas where drums are mainly used for the funeral songs. The western mountainous region is characterized by the Pingkyung culture, found in Geochang, Hamyang, Sancheong, and Hadong in the Sobaek mountains. The eastern intermontane and coastal region is characterized by the singing of the funeral songs without instruments, with some areas along the banks of the Nakdong river using drums. Finally, the central and southern coastal areas are mainly characterized by the use of the Kkwaenggwari, with some areas along the Nakdong river and Gahwacheon using the drum and Pingkyung.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상남도(이하 부・울・경)지역 상부소리에 사용되는 악기 유형별 공간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지역별 문화지역을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부・울・경 지역 상부소리에 사용된 악기는 총 3개이며, 악기 없이 부르는 상부소리 유형을 포함하여 소리 문화 지역을 총 4개로 구분하였다. 세부적으로, 북부평야지역은 주로 낙동강과 그 지류인 황강 유역의 연속된 평야지역을 따라 상부소리에 북을 주로 치는 지역이 다수 분포한다. 서부산지지역은 핑경을 사용하는 문화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소백산맥 일대의 거창, 함양, 산청, 하동에서 나타났다. 동부산간 및 해안지역은 악기 없이 상부소리를 부르는 지역이 분포하며, 일부 낙동강 유역에 해당하는 지역에서는 북을 사용하여 부르는 지역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부 및 남부해안지역은 주로 꽹쇠를 치며 부르는 지역이 분포하며, 일부 낙동강 일대와 가화천 일대에서는 북과 핑경을 이용하여 부르는 지역이 나타났다.
- 건설부 국립지리원, 1985, 「한국지지: 지방편 III」, 서울: 건설부 국립지리원.
- 경기문화재단, 2017, 「제27호 양주 상여 회다지 소리 ; 경기도무형문화재」, 경기도: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 김승은・장윤희, 2023, “서울시와 경기도의 상여소리 연구 - 강동구 바위절마을 호상놀이와 고양 상여・회다지소리를 중심으로-,” 한국국악학회 학술대회, 22-55.
- 김장수・장동호, 2021, “전남지방 논매기소리의 공간적 분포특성 및 문화지역: 아리시고나 류, 산아지소리, 절로소리, 세화자(세월이)소리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지, 10(2), 219-236.10.25202/JAKG.10.2.3
- 김정호・문범두, 2013, “남해군의 장례문화와 상여소리 연구,” 배달말, 52, 75-103.
- 윤혜연・임은진・박현수, 2020, “경남지방 논매기소리의 공간적 분포와 문화권 구분에 관한 연구,” 경관과 지리, 30(2), 186-200.
- 이기태, 2010, “道 경계지역 문화요소의 분포와 문화권역: 동제의 대상신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13(1), 519-558.
- 이옥희, 2020, “전승주체에 따른 상여소리의 전승맥락과 지속가능성 -광주광역시 상여소리를 중심으로-,” 한국민요학, 58, 139-171.10.56100/KFS.2020.04.58.139
- 이해식, 2005, “논문한국의 상여소리 연구,” 낭만음악, 17(2), 55-102.10.1177/000313130505500223
- 임미선, 2012, “전라북도 장례요의 유형과 음악적 특징,” 한국민요학, 36, 361-417.
- 장동호・이소라, 2015, “충청남도 논매기소리의 지리적 공간 분포 특성 분석,” 경관과 지리, 25(3), 1-14.10.35149/jakpg.2015.25.3.001
- 장동호・임은진, 2022, “경북지역 논매기소리의 유형별 문화지역 구분에 따른 공간 분포 특성 분석,” 한국지리학회지, 11(2), 237-252.10.25202/JAKG.11.2.4
- 전라남도지도편찬위원회, 1995, 「전라남도지. 제21-25권」, 전남: 전라남도
- 정근비・임은진・장동호, 2023, “강원지역 논매기소리의 유형별 공간 분포 특성에 따른 문화지역 구분,” 한국지리학회지, 12(2), 371-384.10.25202/JAKG.12.2.8
- Hanser, W.E., Mark, R.E., and Vingerhoet, A.J.J.M., 2023, A comparison of music characteristics of funeral music from Croatia, the Netherlands, and the United Kingdom, Psihologijske teme, 32(1), 209-226.10.31820/pt.32.1.12
- Prelovsek, A., 2021, The influence of the mediterranean on funeral ceremonies and funeral music in Slovenian Coastal Areas, International Journal of Euro-Mediterranean Studies, 14(2), 39-6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
- Publisher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 Publisher(Ko) :한국지리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학회지
- Volume : 13
- No :2
- Pages :189~199
- DOI :https://doi.org/10.25202/JAKG.1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