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Ecological Transformation of Education and Exploration of Methods in Geography Education

    교육의 생태환경적 전환과 지리교육에서의 방향성 탐색

    Dawon Kim

    김다원

    Today, in geography educatio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can be said to be a task-oriented role for ‘a sustainable world for the well-being …

    오늘날 지리교육에서 생태환경적 전환 교육은 ‘생태시민으로서 자신과 사회의 웰빙과 공존을 위한 지속가능한 세계’를 위한 과업적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제를 토대로 …

    + READ MORE
    Today, in geography education,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can be said to be a task-oriented role for ‘a sustainable world for the well-being and coexistence of oneself and society as an ecological citizen.’ Based on these premises, this study analyzed the necessity and content of ecological environmental approach education in the direction of education suggested by UNESCO and OECD as future education. In addition, I analyzed the direction of ecological approach education in geography education focusing on the Australian geography curriculum revised in 2022 and the Ontario geography curriculum revised in Canada in 2023. Based on this, I suggested five directions for implementing an ecological approach to geography education. First, education to foster ecological capacity, second, education to foster transformative capacity and agency, third, expansion to education that can predict and imagine the future world based on sustainability, fourth, strengthening of natural environment education including climate change response, biology, and ecosystem, fifth, application of regional perspectives in ecological environmental approach education to present the contribution of geography education in terms of reality and effectiveness.


    오늘날 지리교육에서 생태환경적 전환 교육은 ‘생태시민으로서 자신과 사회의 웰빙과 공존을 위한 지속가능한 세계’를 위한 과업적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제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UNESCO, OECD에서 미래 교육으로 제시하고 있는 교육의 방향에서 생태환경적 접근 교육의 필요성과 내용을 분석하였고, 최근 2022년에 개정한 오스트레일리아 지리교육과정과 2023년에 개정한 캐나다의 온타리오 주 지리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지리교육에서 생태환경적 접근 교육의 방향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리교육에서 생태환경적 접근 교육의 실행 방향성으로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생태역량 함양의 교육, 둘째, 변혁적 역량과 행위 주체성 함양 교육, 셋째, 지속가능성을 토대로 미래 세계를 예측하고 상상할 수 있는 교육으로 확장, 넷째, 기후변화 대응, 생물, 생태계 등을 포함한 자연환경 교육의 강화, 다섯째, 생태환경적 접근 교육에서 지역적 관점의 적용을 통해 현실성과 실효성 면에서 지리교육의 기여를 제시하였다.

    - COLLAPSE
    30 September 2024
  • Research Article

    Analysis of the Factors Determining Secondary Geography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중등 지리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결정 요인 분석

    Minsoo Chae

    채민수

    The 2022 revised curriculum presents the cultivation of digital literacy as a core value, and accordingly, the formation of teachers' technology pedagogical …

    2022 개정 교육과정은 디지털 소양 함양을 핵심 가치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이하 TPACK) 형성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

    + READ MORE
    The 2022 revised curriculum presents the cultivation of digital literacy as a core value, and accordingly, the formation of teachers' 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PACK) is emerging as a very important tas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geography teachers' TPACK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developing a standard model that can measure geography teachers' TPACK competency based on this.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geography teachers’ TPACK paths was found to be TK. This emphasizes that understanding of geographic information technolog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formation of TPACK in geography classes using technology. Second,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geography teachers’ TPACK paths after TK (Technological Knowledge) was PK (Pedagogical Knowledge). This emphasizes tha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that are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ic information technology, not just teaching strategies, in geography classes using technology. In order to suggest ways to strengthen geography teachers’ TPACK capabilities, follow-up studi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a training course to strengthen teachers’ TPACK capabilities an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of TPACK capabilities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2022 개정 교육과정은 디지털 소양 함양을 핵심 가치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이하 TPACK) 형성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지리교사의 TPACK 결정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지리교사의 TPACK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표준 모형 개발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교사의 TPACK 경로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TK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지리수업에 있어서 지리정보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TPACK 형성에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둘째, TK 다음으로 지리교사의 TPACK 경로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PK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지리수업에서 교수 전략만을 고려할 것이 아니라 지리정보기술의 특성에 맞춘 교수학습전략을 세워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지리교사의 TPACK 역량 강화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TPACK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과정 개발 및 TPACK 역량 결정 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등의 후속 연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 COLLAPSE
    30 September 2024
  • Research Article

    Understanding Translated Geographical Concepts: Focusing Köppen’s Tree Climates in Korea and Japan

    번역된 지리 개념 이해하기: 한국과 일본에서 쾨펜의 수목 기후를 중심으로

    Howook Lee

    이호욱

    Given the difficulties in reflecting the true meaning of translated concepts from a source language, translatability and linguistic diversity should be considered …

    원어에서 참 의미를 번역된 개념에 반영하는 것이 어렵다는 사실을 전제할 때, 번역된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번역 가능성과 언어적 다양성을 고려해야 한다. 교육적 …

    + READ MORE
    Given the difficulties in reflecting the true meaning of translated concepts from a source language, translatability and linguistic diversity should be considered to understand them. In educational settings, translated geographical concepts need to be inquired from the perspective of geography education rather tha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y comparing the meaning of the translated concepts in Köppen’s climate classification in Korea and Japan with what was intended in the original concepts described in German. While only the concept of tree climates is described in Köppen’s writings, the concepts of treeless and tree climates are both being used in Korea and Japan. Additionally, Japan also uses a novel classification method to distinguish between forested and unforested climates. The teaching strategies recommended in this study include replacing treeless climates with nontree climates and, particularly in Japan, employing a new classification method for high forest climates and non-high forest climates.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to consider the meaning and use of translated words understood in each region to effectively learn geographical concepts.


    원어에서 참 의미를 번역된 개념에 반영하는 것이 어렵다는 사실을 전제할 때, 번역된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번역 가능성과 언어적 다양성을 고려해야 한다. 교육적 맥락에서 번역된 지리 개념은 외국어교육보다는 지리교육의 관점에서 탐구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에서 쾨펜의 기후 구분 내 번역된 개념들의 의미와 독일어로 기술된 원 개념에서 의도된 의미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쾨펜의 저술에서는 수목 기후의 개념만 기술하고 있지만, 한국과 일본에서는 수목 기후와 무수목 기후의 개념이 모두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 더해 일본은 새로운 분류 방법도 사용하는데, 수림 기후와 무수림 기후를 구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교수 전략에는 무수목 기후를 비수목 기후로 대체하는 것과 특히, 일본에서 삼림 기후와 비삼림 기후를 구분하는 새로운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연구는 지리 개념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각 지역에서 이해되어지는 번역된 단어들의 의미와 용도를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 COLLAPSE
    30 September 2024
  • Research Article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Climate Change Perception Types: A Cluster Analysis Approach

    초등학생 기후변화 인식 유형별 특성 분석: 군집분석을 통한 접근

    Suh-young Hong

    홍서영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ypes of climate change awarenes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유형을 조사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 학교는 서울 W초등학교로, W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

    + READ M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ypes of climate change awarenes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e study was conducted at W Elementary School in Seoul, with 167 sixth-grade students from W Elementary School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December 2023. The mean of the 5-point scale responses were calculated for each of the nine influencing factors of climate change risk perception and clustered using k-means cluster analysis. This resulted in three clusters, which we named cluster 1 as ‘risk perception concerned’, cluster 2 as ‘risk perception indifferent’, and cluster 3 as ‘passive behavior type of risk perception’. A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lusters.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need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various climate change response activities, active interaction with parents, increased internal willingness to participate, positive experiences in practice, and awareness of ecological citizenship.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유형을 조사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 학교는 서울 W초등학교로, W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16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2023년 12월 중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후변화 위험인식을 9개로 구분한 영향 요인별로 5점 척도 응답의 평균을 계산하고, k-평균군집분석(k-means cluster analysis)을 사용하여 군집화했다. 그 결과 3개의 군집으로 분석되었으며, 군집 1의 경우 ‘위험인식 관심 유형’, 군집 2의 경우 ‘위험인식 무관심 유형’, 군집 3의 경우 ‘위험인식 소극적 행동 유형’이라고 명명하였다. 이러한 군집의 특징에 따라 그에 맞는 기후변화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들에게는 다양한 기후변화 대응 활동에의 참여 경험, 부모와의 활발한 상호작용, 내적인 참여 의지 향상, 실천에의 긍정적인 경험, 생태시민으로서의 자각 등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COLLAPSE
    30 September 2024
  • Research Article

    Effects of Jeonsee Yield on Sales Transactions and Jeonse Contracts

    전세 기대수익률이 매매 및 전세 거래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Jinbaek Park, Jong-Geun Kim

    박진백, 김종근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expected jeonse yield on both sales transaction volume and jeonsee contracts. The expected jeonse yield is …

    본 연구는 전세 기대수익률이 매매 거래량과 전세 거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여기서 전세 기대수익률은 갭투자의 대리변수로 사용되었으며, 전세가율 수준에 따라 갭투자의 유인이 …

    + READ M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expected jeonse yield on both sales transaction volume and jeonsee contracts. The expected jeonse yield is used as a proxy measures for gap investment. Recognizing that the motivation for gap investment may change based on the level of the jeonse-to-price (JTP) ratio, addition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plitting the data into cases where the JTP ratio of the samples exceeds the median and where it does not. A panel regression model was formulated using actual transaction data, jeonse yields, interest rates, and other data from 2014 to 2021. The findings indicate that as the expected jeonse yield rises, sales transaction volume tends to increase as well. Furthermore, when the jeonse ratio is higher, the need for personal funds is reduced, which strengthens the purchasing tendency. Notably, the coefficient was larger when the JTP ratio was above the median, while no significant results were observed when it was below the median. This confirms that a higher JTP ratio correlates with a stronger purchasing tendency due to the reduced need for personal funds, while a lower JTP ratio increases the need for personal funds and weakens the purchasing tendency. Additionally, jeonse contracts also tends to rise with increases in the expected return on jeonse, with a larger coefficient observed when the JTP rate is above the median. This is likely because a higher JTP rate reduces the risk of deposit non-return, thanks to liquidity provided by jeonse loans and deposit return guarantees, which enhances the incentive for jeonse contracts.


    본 연구는 전세 기대수익률이 매매 거래량과 전세 거래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여기서 전세 기대수익률은 갭투자의 대리변수로 사용되었으며, 전세가율 수준에 따라 갭투자의 유인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전세가율이 중위값을 넘는 경우와 넘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조건부 분석을 진행하였다. 2014년-2021년 기간의 실거래, 전세수익률, 금리 등의 자료를 사용하여 패널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전세 기대수익률이 증가하면 매매 거래량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전세가율이 높아 자기자금 투입이 적어질수록 매입 성향이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세가율이 중위값 이상일 때 계수값이 더 크게 나타났고, 중위값 미만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전세가율이 높을수록 자기자금 부담이 줄어들면서 매입 성향이 강해지고, 반대로 전세가율이 낮아 자기자금 투입이 커지면 매입 성향이 약해진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전세 거래량 역시 전세 기대수익률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전세가율이 중위값 이상일 때 계수값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전세가율이 높을 경우, 전세자금대출을 통한 유동성 공급과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으로 인해 보증금 미반환 위험이 줄어들어 전세 소비 유인이 더 커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 COLLAPSE
    30 September 2024
  • Research Article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Regional Center Shift in a Small Region: A Case of the Unju-myeon in Jeonbuk

    소규모 지역에서 나타난 중심지 이동의 원인과 결과: 전북 완주군 운주면 지역을 사례로

    Sungwook Cho

    조성욱

    As an example the Unju-myeon area of Wanju-gun, Jeollabuk-do, the change in the regional center and its causes and consequences were examined. …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지역을 사례로 소규모 지역에서 나타난 중심지 이동의 원인과 그 결과를 살펴봤다. 이 지역에서는 조선시대 이용했던 길(용계길)과 1911년 이후 개설된 …

    + READ MORE
    As an example the Unju-myeon area of Wanju-gun, Jeollabuk-do, the change in the regional center and its causes and consequences were examined. In this area, there was a regional change in which the center of the region was moved due to the change in the route of the road (Yonggye-gil) used during the Joseon-Dynasty and the new road opened after 1911. It wa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is, first, in the Unju-myeon area, the watershed did not serve as the boundary for myeon district in 1914, but in 1989, it was separated into two region by the watershed. Second, the route from Gosan-hyeon to Jinsan-hyeon and Yeonsan-hyeon during the Joseon-Dynasty was a route using Yonggye-jae and Ppae-jae. But both National Road 17 and Local Road 697, new roads opened in 1911, were reorganized into routes that pass through Malgol-jae. Third, the change of transportation routes and the construction of Gyeongcheon Reservoi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ause of the regional center change. And the main points of the Yonggye-gil route in the past, declined due to the change of transportation routes. In 1911, the villages on the new road route were grown. In particular, Jungchon village in Jangseon-ri formed a three-way intersection where it became the regional center of Unju-myeon in 1935.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지역을 사례로 소규모 지역에서 나타난 중심지 이동의 원인과 그 결과를 살펴봤다. 이 지역에서는 조선시대 이용했던 길(용계길)과 1911년 이후 개설된 신작로의 노선 변화에 따라 지역의 중심지가 이동되는 지역변화가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내용은, 첫째, 운주면 지역은 1914년(운선면, 운동하면)에는 분수계가 면의 경계 역할을 하지 않았으나, 1989년(운주면과 경천면)에는 분수계가 경계가 되었다. 둘째, 조선시대 고산현에서 북동쪽의 진산현과 북서쪽의 연산현으로 가는 길은 용계재와 빼재를 이용하는 노선이었으나, 1911년 개설된 신작로(17호 국도와 697호 지방도)는 모두 말골재를 통과하는 노선으로 재편되었다. 셋째, 이 지역에서 중심지 변화의 원인은 교통로 변화와 경천저수지 축조가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특히 교통로의 변화에 따라 과거 용계길 노선의 주요 지점이었던 가천, 신그랭이, 용계원이 쇠퇴하였고, 1911년 신작로 노선에 있는 경천, 용복, 장선리의 중촌마을이 성장했다. 특히 장선리의 중촌마을은 국도와 지방도가 교차하는 삼거리를 형성하게 되었고, 1935년 운주면의 면소재지가 되었다.

    - COLLAPSE
    30 September 2024
  • Research Article

    Promotion System Operation Plan for the Enactment of the Rural Space Restructuring Act

    농촌공간재구조화법 제정에 따른 추진체계 운영방안 연구

    Seung-Seok Han, Byoung Jo Kwak, So-Jin Cho

    한승석, 곽병조, 조소진

    In 2023, the government enacted the “Act on the Restructuring and Regeneration Support of Rural Spaces” to manage rural spaces efficiently. This …

    정부는 2023년 농촌공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해당 법령은 농촌공간 관리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도록 제시하고 …

    + READ MORE
    In 2023, the government enacted the “Act on the Restructuring and Regeneration Support of Rural Spaces” to manage rural spaces efficiently. This law outlines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plans for rural space management and designates various implementing bodies. However, since implementing bodies already exist under the existing Rural Agreement System, confusion has arisen among field practitioner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implementation systems of the existing Rural Agreement System and the Rural Space Restructuring Act. As a result, it proposes the integration of overlapping implementing bodies into those designated by the law and suggests new participation methods for residents. Additionally, the study emphasizes the role of regional governments in establishing and operating effective plans for local governments. It is expected that the new implementation system proposed through this research will help the Rural Space Restructuring Act be smoothly established in practice.


    정부는 2023년 농촌공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해당 법령은 농촌공간 관리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도록 제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추진주체를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농촌협약제도에서도 추진주체가 존재하기에 현장 업무담당자들의 혼란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시행되고 있는 농촌협약제도의 추진체계와 농촌공간재구조화법에서 제시한 추진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결과적으로 법령과 제도 내 중복되는 추진주체는 법령에서 제시하는 추진 주체로 통합하고, 주민의 신규 참여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초지자체의 효율적인 계획수립 및 운영을 위해 광역지자체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연구를 통해 제시한 새로운 추진체계 안을 통해 농촌공간재구조화법이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COLLAPSE
    30 September 2024